제 목 | (사회관계) 다문화교육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9-08 10:29:07 |
조회수 | 1,703회 | 댓글수 | 1 |
1 심화 16-2번 답이 뱅크스의 변혁적 접근과 더만스파크스의 반편견인데
두 이론을 연결하자면 공통적으로 편견에 대처하는 내용이
사회적행동 접근법과 반편견교육에 들어 있다고 생각했어요
답인 변혁적 접근과 반편견교육의 공통점은 뭘까요?
그 공통점이 지문의 내용이 될 것 같은데 지문 해석이 어려워요
반편견은 변혁적과도 사회적 행동 접근과도 관련이 있나요?
2 기존 교육과정에 민족 및 문화 집단의 주제를 첨가하는 것과
기존 교육과정에 다문화적 내용 주제 개념을 부가하는 것의 예를 알 수 있을까요
둘이 봐도 봐도 비슷해 보여요
기여적은 축제 영웅 공휴일 같은 키워드로 기억했는데
이건 이해가 아닌 단순 암기 같아서 질문합니다 ㅠ
3 부가적 접근에 음식 집 옷과 같은 일상적 상황을 중심으로 범교육과정적 주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써 있는데 이렇게 운영하면 변혁적 접근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부가적 접근의 바른 예가 되는 건가요?
두 이론을 연결하자면 공통적으로 편견에 대처하는 내용이
사회적행동 접근법과 반편견교육에 들어 있다고 생각했어요
답인 변혁적 접근과 반편견교육의 공통점은 뭘까요?
그 공통점이 지문의 내용이 될 것 같은데 지문 해석이 어려워요
반편견은 변혁적과도 사회적 행동 접근과도 관련이 있나요?
2 기존 교육과정에 민족 및 문화 집단의 주제를 첨가하는 것과
기존 교육과정에 다문화적 내용 주제 개념을 부가하는 것의 예를 알 수 있을까요
둘이 봐도 봐도 비슷해 보여요
기여적은 축제 영웅 공휴일 같은 키워드로 기억했는데
이건 이해가 아닌 단순 암기 같아서 질문합니다 ㅠ
3 부가적 접근에 음식 집 옷과 같은 일상적 상황을 중심으로 범교육과정적 주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써 있는데 이렇게 운영하면 변혁적 접근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부가적 접근의 바른 예가 되는 건가요?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
3. 부가적 접근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구조, 목표,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소수 집단의 관련된 내용, 개념, 주제, 관점을 교육과정에 첨가하는 것이고,
변혁적 접근의 경우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화시켜서 다양한 집단의 관점에서 개념, 이슈, 사건들을 조망해보는 것이라고 해요.
따라서 다른 문화에 대한 일상적인 내용을 기본 교육과정에 첨가한다면 부가적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변혁적 접근법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화시켜서, 외부자적 입장에서 이슈, 개념, 사건을 조망해 볼 테니 구분하시면 되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