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신체운동건강) 교수행동유형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9-11 10:14:58 |
조회수 | 1,327회 | 댓글수 | 2 |
언어적 설명과 지시가 예전에는 지도하기에 속한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문풀에는 시범보이기에 속한다고 하셔서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문풀에는 시범보이기에 속한다고 하셔서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댓글목록
꽃길님의 댓글
ag20 작성일
선생님 저는 시범보이기는 교사의 언어적 설명과 지시와 함께 직접 보여주면서 유아가 교사의 행동을 보고 따라하도록 하면 '시범보이기'이고 - 교사의 말에 잘 보라는 말이 포함되어있다.
지도하기는 교사의 행동 없이 언어적으로 설명과 지시만 있을 때
라고 이해하고 있어요.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시범보이기는 과제 수행을 교사의 행동과 언어로 보여주는 것이고 유아는 관찰을 통해 학습하게 됩니다
반면 지도하기는 교사가 행동과 설명을 사용하지만 유아는 교사의 행동을 직접 따라함으로서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시범하기는 일반적으로 절차가 포함된 새로운 과제 수행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지도하기는 특정한 방법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할 때 교사가 직접적인 방식으로 지도한다는 의미입니다. 교수 행동 유형에 대한 설명을 좀 더 꼼꼼하게 다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지도하기에 교사의 행동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명백한 오개념입니다. 설명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교사가 직접적으로 구체적인 행동으로 가르치는 것이 지도하기입니다. (direction) 그리고 이에 더하여 설명하기를 일부 포함한 것 입니다. 시범 보이기와 지도하기는 과제의 성격도 다르고 교사가 사용하는 교수 전략, 유아의 학습 방법 모두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