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예술경험] 민화와 풍속화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kyung7464 | 작성일 | 2018-09-03 22:29:21 |
조회수 | 1,258회 | 댓글수 | 2 |
영역별 적중문제집607p 김홍도의 그림이 속하는 미술의 장르는 풍속화 이고
심화문제2 06번 1)번 '까치와 호랑이'에 해당하는 한국화의 유형의 정답은 민화라고 나와있습니다.
영역별 적중문제집과 심화문제를 풀다 정답이 헷갈려서 교재를 찾아보았습니다.
교재 31p에 나와있는 내용을 보면 '민화를 산수화, 화훼도 축수도, 영수화, 기용화, 풍속화, 도안화, 설화화, 인물화 등으로 더 세분하기도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답안을 작성할 때 무엇을 근거로 답을 나누어야 하나요?
댓글목록
saetbyeol9님의 댓글
saetbyeol9 작성일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도 같은 고민을 하고, 찾아본 게 있어 알려드려요~
우선 풍속화는 일상 생활을 소재로 그린 그림이라고 정의를 내리더라구요!
예를 들어 김홍도의 작품중 서당도 씨름도가 이에 해당하고 이 그림에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이 잘 드러나 있어요!
그리고 민화는 꽃, 새, 물고기, 까치, 십장생, 산수, 풍속 등 자연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그려져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까치와 호랑이 같은 그림이 있어요!
이 설명을 이해하고 나서 민화와 풍속화를 찾아보니 확연히 둘을 비교할 수 있겠더라구요!
그런데 또 확연하게 구분하기에 애매한 것들도 있더라구요ㅜㅜ
그래서 저는 딱! 보고 사람들의 생활모습이 드러나면 풍속화!
동물, 식물, 자연풍경이 나오면 민화! 라고 정의를 내려보았습니다ㅠㅠ ...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전통 회화는 학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여러가지로 구분한답니다.
민화에 풍속화를 포함 시키기도 하고 풍속화에 민화가 포함되기도 하고 민화의 정의 자체가 모호하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교육부 자료나 활동 자료집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고려한다면 위의 선생님이 제시하신 설명이 닥 적합합니다. 적중문제에서 풍속화에 대한 정의를 설명 드렸으니 한번 더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