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언어교육 접근법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8-24 03:46:18 |
조회수 | 1,388회 | 댓글수 | 2 |
글자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한다-발음 중심
글자에 관한 놀이를 한다, 언어놀이-균형적 접근법
이게 맞나요?
피아제와 비고츠키 용어 따로 구분할 필요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예전에 자기 중심적 언어와 혼잣말이 다르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문풀에서는 골고루 쓰이는 것 같아서요
언어적 기능에서 말을 사용하는 주체에게 어떤 기능 하는지가 중요하다,
표상이 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해 주셨는데
표상이 아닌 말과 언어 표상은 어떻게 구분하는 게 좋을까요...?
아는 걸 설명해 주는 게 표상일까요
검색해서 그대로 읽는 건 표상이 아니고요
글자에 관한 놀이를 한다, 언어놀이-균형적 접근법
이게 맞나요?
피아제와 비고츠키 용어 따로 구분할 필요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예전에 자기 중심적 언어와 혼잣말이 다르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문풀에서는 골고루 쓰이는 것 같아서요
언어적 기능에서 말을 사용하는 주체에게 어떤 기능 하는지가 중요하다,
표상이 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해 주셨는데
표상이 아닌 말과 언어 표상은 어떻게 구분하는 게 좋을까요...?
아는 걸 설명해 주는 게 표상일까요
검색해서 그대로 읽는 건 표상이 아니고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글자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한다-발음 중심 / 글자에 관한 놀이를 한다, 언어놀이-균형적 접근법
위의 내용은 지나치게 단편적인 내용으로 정리가 되어 있어서 각각을 특정한 언어교육 접근법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관련 맥락들이 있어야 어떤 접근법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구요. 둘 다 글자라는 분절된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총체적 언어와 같은 전체 접근법으로는 보기 어렵고. 또한 놀이를 한다고는 되어 있지만 단순하게 활동을 놀이로 표현한 것인지 ? 아이들의 흥미를 중시한다는 의미에서 놀이라고 제시한 것인지 구분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2. 자기중심적언어, 혼잣말은 피아제이론과 비고츠키 이론 모두에서 책에 따라 혼용되는 단어입니다.
3. 이 내용은 맥락이 없어서 제가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네요. 그리고 강의하는 사람은 강의 끝나고 나면 어느 부분에서 어떤 말을 했는지 다 기억못한답니다. 정확하게 몇번 문제에서 무엇을 해설하다가 나온 이야기인지 맥락을 알려주시면 확인하고 답변 드리겠습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3. 말로 표현하는 것이 모두 표상은 아닙니다.
자신의 정보나 경험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것/ 정보를 전달하는 말이나 글이 표상적 기능에 해당합니다.
문제를 풀 때 사례에서는 언어를 어떤 의도로 사용했는지를 기준으로 구분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