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심화문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eeclos2 | 작성일 | 2018-08-29 03:57:13 |
조회수 | 1,358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의사소통 복습을 하다가 궁금증이 생겼어요.!
1. 심화문제 5번에서
교사: 1)코끼리가 먹이로 풀을 먹는 것을 보았구나.
2)코끼리가 먹이로 먹을 수 있는 것을 풀 말고 또 무엇이 있을까?
3)코끼리 먹이는 풀도 될 수 있고, 과자도 될 수 있고, 바나나도 될 수 있구나.
이렇게 3가지의 교사가 한 이야기입니다. 정답은 교사의 발문으로 찾아야 해서 2번이 정답인데요.
그렇다면 1번과 3번도 의미의 수직적 발달을 돕기 위한 언어라고 보아도 될까요?
단지 발문이 아닌 형태이기 때문에 정답이 되지 않은거죠?
그런데 3번을 보면 상위 범주인 먹이에는 풀, 과자, 바나나가 될 수 있다고 해서 수직적 발달인데...늘 수직적 발달은 어떤 하위 개념에서 상위 개념으로 범주화 했을 때만 수직적 발달인 줄 알았는데 저렇게 상위개념인 먹이의 종류로써 하위 개념의 종류를 이야기하는 것도 포함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2. 6월 모의고사 정보회상적 질문과 심미적 질문 묻는 유형이었는데요.
교사: 동화 재미있게 들었니?
유아: 네. 가장 힘이 센 건 들쥐였어요.
교사: 처음에는 가장 힘이 센 신랑감이 누구라고 생각했니?
유아: 해님이요. 그런데 해님이 가장 힘이 센 게 아니었어. 들쥐였어
빨간색 부분은 교사가 정보회상적 질문이라고 하셨는데...저는 자꾸 심미적 질문 같아서요.
심미적 질문 내용을 보면 가정하기, 추론하기 등 인지적 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나와있는데 저것은 유아에게 동화책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묻는 게 아닌가 자꾸 혼동이 옵니다ㅜㅜ
정보회상적 질문과 심미적 질문 확실히 구분되는 줄 알았는데 저 지문에서 어떤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어요ㅜㅜ
댓글목록
laviande님의 댓글
laviande 작성일
선생님 안녕하세요!
의사소통 영역 공부 중이시군요. 저도 비슷한 부분에서 많이 고민했던 기억이 있어서 댓 남깁니다.
1번의 경우, 세 문장 모두 포괄적으로 보면 수직적 어휘 발달을 돕는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유아들과의 대화를 함께 보면 조금 그 성격이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첫째문장과 셋째문장은 유아들의 이야기를 교사가 그대로 받아 다시 아이들의 말을 정리해주는 역할이 더 큽니다. 물론 정리를 해주며 수직적 어휘발달의 모델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지만, 유아들의 어휘확장을 좀 더 확실히 도우려면 유아들 스스로 확산적 사고를 통해 어휘를 떠올려보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스스로 수직적 어휘확장을 하도록 돕는 질문을 한 두 번째 문장이 유아의 수직적 어휘확장을 돕는 발문으로 가장 적절할것 같습니다.
또한 수직적 어휘발달은 어휘들을 범주화하는 의미이므로, 상위에서 하위로 또 하위에서 상위로 모두 개념에 포함됩니다..
2. 동화 내용 때문에 혼돈이 오신것 같습니다.
아마도 저 동화가 힘이 제일 센 사윗감을 찾아 여러 등장인물을 만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처음에는 누가 가장 힘이 세다고 생각했었니?’는 유아에게 네가 생각하기에 가장 힘이 쎈게 누구였였니?를 묻기보다는 ‘처음에는’처럼 동화의 사건 순서대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묻고 있습니다. 아마도 처음에 제일 힘이 쎄다고 생각했던 해님을 찾아갔었던 내용이 아니였을까요. 유아의 대답을 보면 사건의 순서대로 처음부터의 줄거리와 등장인물들을 회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심미적 질문이 답으로 나오려면 보다 더 유아의 입장이 명확하게 포함된 질문이 나올 것 입니다. “만약 네가 아빠들쥐였다면 신랑감을 찾았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을것 같니?”처럼 보다 확실히 유아 반응을 물어보는 문장이 주로 출제됩니다.
저는 주로 아이들의 답변을 토대로 교사의 질문이 무엇인지 판단하는 편입니다.
유아들이 책 속의 내용을 사건순서대로 이야기하거나, 혹은 있던 그대로 진술하면 주로 정보 회상적 질문에 대한 답이고, 반대로 유아의 기분이나 느낌, 감정이 포함된 대답을 하면 심미적 질문에 대한 답이더라구요. 혹시 헷갈리시면 유아의 대답문장과 함께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지나가다가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 달았는데 공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laviande님의 답변을 토대로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내용 보충합니다.
1. 1)번의 경우에는 수직적 어휘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풀이라는 단어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어휘를 사용하여 유아의 언어에 반응한 상호작용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