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8-20 04:56:14 |
조회수 | 1,419회 | 댓글수 | 1 |
1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노래는
~는 어때 ~하면 ~ 문장이 반복되니 자동화 반응도 되고
내용은 연상되는 것을 말하는 거니 내적 언어화 반응도 되나요?
2 들은 적 없는데 과잉규칙을 보이는 건
스스로 구성한 지식이라 생각해서 인지적 구성주의라고 생각했어요
생득주의는 불완전한 것을 들어도 보편문법이 나온다고 해서요...
또 까꿍 놀이를 즐기는 건
성숙으로 그 단계가 됐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나 타고난 것으로 봐서
생득주의로 생각했는데 제 이해에 뭐가 잘못된 걸까요
이것도 저것도 해석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ㅜ
그리고 답에 성숙주의 생득주의 같이 써 있던데
성숙주의가 더 큰 개념 아니고 생득주의 대신 성숙주의 써도 되나요?
3 비고츠키의 언어와 사고 관계를 쓰라고 할 때
문풀 272쪽 아래 지문처럼 언어와 사고가 동등하다고 써도
언어가 인지 발달을 이끈다고 써도 상관없나요?
~는 어때 ~하면 ~ 문장이 반복되니 자동화 반응도 되고
내용은 연상되는 것을 말하는 거니 내적 언어화 반응도 되나요?
2 들은 적 없는데 과잉규칙을 보이는 건
스스로 구성한 지식이라 생각해서 인지적 구성주의라고 생각했어요
생득주의는 불완전한 것을 들어도 보편문법이 나온다고 해서요...
또 까꿍 놀이를 즐기는 건
성숙으로 그 단계가 됐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나 타고난 것으로 봐서
생득주의로 생각했는데 제 이해에 뭐가 잘못된 걸까요
이것도 저것도 해석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ㅜ
그리고 답에 성숙주의 생득주의 같이 써 있던데
성숙주의가 더 큰 개념 아니고 생득주의 대신 성숙주의 써도 되나요?
3 비고츠키의 언어와 사고 관계를 쓰라고 할 때
문풀 272쪽 아래 지문처럼 언어와 사고가 동등하다고 써도
언어가 인지 발달을 이끈다고 써도 상관없나요?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교사의 발문을 예로 들었는데 삐아제의 자기중심적 언어에 해당하는 사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 과잉규칙화는 모든 아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내재된 언어획득장치가 작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인지적 구성주의라고 볼 수 없습니다.
3. 성숙주의 써도 되지만 언어발달이론에서는 '생득주의'가 햡의된 개념이므로 생득주의로 기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수업시간에 설명했듯이 '언어와 인지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발달한다.'가 정확한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