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랜트 교수행동유형 | ||
---|---|---|---|
작성자 | sksd99 | 작성일 | 2018-08-21 21:35:28 |
조회수 | 3,648회 | 댓글수 | 2 |
제가 이 부분에 오개념이 많은 것 같아 여쭤봅니다 ㅠㅠㅠ정말 책의 내용 끌어 모아서 이해하려고 했는데 혼자 뭐가 틀렸는지 잘 모르겠어요ㅜㅜ도와주세요교수님!!
촉진하기 : 과제의 난이도를 조절하며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여 또 다른 상황을 제시해줌 , 확산적 질문을 사용하여 다음 단계로 도달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 예) 두발자전거 뒤를 잠깐 잡아주는 것
지원하기 : 독립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도움만 줌, 처음부터 끝까지 개입하지만 아이가 그만 할 때까지 개입, 물리적환경과 자료 제공 예) 자전거에 보조바퀴 달아주고 익숙해주면 떼주기, 평균대 건널 때 손잡아주기
지지하기 : 스스로 하고 싶지만 도움 없이 하기 어려운 활동 과제 제공, 전체적인 도움을 주고 점점 철회해감, 예) 바닥에 8모양의 테이프를 붙인 뒤 구르면서 나뭇잎을 표현한 후 잘 표현하면 테이프를 떼어내고 굴러보도록 함
촉진하기는 다음단계로 도달할 수 있는 도움을 주고 지원하기에서는 필요한 도움만 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럼 지원하기 예시처럼 평균대 건널 때 손잡아주는 것도 촉진하기의 예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혼란이 옵니다. 평균대를 건너기 위해 필요한 도움(손잡아주기)를 하는 것으로 보긴 어려운건가요? 확산적 질문이 아니라 물리적환경이나 자료 제공의 도움으로 봐서 지원하기의 예로 해당이 되는 걸까요??ㅠㅠ
또 지원하기의 예처럼 자전거에 보조바퀴를 달아주고 익숙해지면 보조바퀴를 떼는 것처럼 지지하기의 예로도 될 수 있는게 아닌가요 ㅠㅠ 전체적인 도움(보조바퀴)를 주고 점점 철회해나가는 것으로 보조바퀴를 뗀다고는 볼 수 없는 건가요?
말이 장황한데 저의 오개념을 잡아주세요 ㅠㅠ
댓글목록
dmsdhrdl2님의 댓글
dmsdhrdl2 작성일
제가 이해한 내용이니 필요한 부분만 취하세요.
(저의 오개념일 수 있으니^^;;)
지원하기의 평균대 예는,
평균대 올라설 때 균형잡으라고 잠깐 손을 잡아주면 촉진일 수 있지만
평균대 걷는동안 끝까지 손을 잡아주었다면
처음부터 끝까지의 도움에 해당해서 지원하기.
바닥에 8자 모양 테이프는 지지하기의 예 맞지요? ^^
지지하기는.. 저는 이렇게 적어 뒀네요.
지금으로도 충분한 활동이지만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함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dmsdhrdl2님 의견 모두 적합합니다.
일단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의 이론을 공부할 때는
어떤 행동이 더 비지시적이고, 더 지시적인가를 생각해야합니다.
촉진하기, 지지하기, 지원하기의 순으로 더 지시성이 강해집니다.
즉, 유아가 스스로 하는 것보다 교사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아래와 같이 교수행동이 이루어집니다.
유아가 약간의 교사 개입으로 활동을 완성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면 일시적 도움을 주거나 유아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질문을 하는 등의 '촉진하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지원하기'
과제를 완전히 수행하여 다음단계로의 도약이 필요하다면 비계 설정하기와 같은 '지지하기'
질문에서 '촉진하기'가 확산적 사고를 사용해서 다음 단계로 도달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한다고 했는데 확산적 질문이 반드시 다음 단계로의 도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2018기출문제에서 '공을 떨어뜨리지 않고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의 사례처럼 유아들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야하는지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질문도 포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