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상징놀이의 발달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8-13 06:24:59 |
조회수 | 1,456회 | 댓글수 | 1 |
가상적 사물 인물 단계의 예로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며 커피 드세요가 있는데요
1 말없이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기만 하는 건 전 상징적 단계인가요?
2 빈 주전자를 기울이는 게 자기 상징 단계가 되려면 어떻게 나와야 하나요?
3 강아지 인형으로 살아 있는 강아지 흉내를 내면(엎드려 먹기, 짖기)
사람처럼은 아니어도 살아 있는 것처럼 한 거니까
적극적 대행 단계인가요?
아니면 강아지 인형으로 사람 말을 해야 적극적 대행 단계인가요?
댓글목록
조교쌤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네 선생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전 상징적 단계의 예로 빈 컵을 입에 가져가기가 있고
가상적 사물 인물 단계의 예로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며 커피 드세요
의 출처가 드러나 있지 않지만 작성하신 것을 토대로 살펴본다면,
전 상징적 단계의 특징은 상징 놀이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채, 빈 컵을 그대로 입에 컵 -> 컵처럼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겠죠? 예를 들어, 전화기를 잠시 귀에 댄다. "전화기"를 실제 전화기로 그대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가상적 대체기(가상적 사물/인물) 단계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 동물이 실제로 있는 것처럼 가상(상징)행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빈 장난감 주전자를 기울이며 커피 드세요" 에서의 포인트를 빈 주전자가 아니라
유아가 혼자가 아닌 가상적인 인물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누군가에게"~~커피 드세요" 라고 말하며
가상하고 있는 것이 포인트겠죠? 예를 들어, 오토바이를 탄 것처럼 부릉 소리를 내며 방을 돌아다닌다. 와 같이
오토바이가 없는데 오토바이가 있는 것처럼 여기서는 사물이 실제로 있는 것처럼 가상하는 것입니다.
이밖에도
장난감이 그 자체로 적극적인 주체로 행하게 되면 적극적 대행 단계가 됩니다.
예를 들면, 인형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한다. 와 같이 "강아지 인형이" 말을 하는 것처럼 해야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출처 : 한눈의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 p.180 Gowen의 상징 놀이 과정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응원합니다 선생님! 화이팅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