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근대 교육사조 관련 질문 | ||
---|---|---|---|
작성자 | ldb026 | 작성일 | 2023-01-13 00:01:25 |
조회수 | 917회 | 댓글수 | 4 |
- 인문주의
1. (교재 111p) 개요도를 참고해보면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은 ‘인간 본성에 따르는 자연주의 교육’이라 합니다. 자연주의는 코메니우스, 즉 17세기 즈음부터 등장하는 개념으로 알고 있는데, 인문주의에서 말하는 자연주의는 어떤 것인가요?
- 계몽사상
2. (교재 113p) 계몽주의 교육에서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자연적으로 교육할 것을 강조하였다’는 부분에서 자연적으로 교육하는 것은 자연주의에서 말하는 자연에 따르는 교육과 의미가 유사한가요? 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더불어, 계몽주의 교육사상과 자연주의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있는데, 이 둘을 주지주의적- 주정주의적이라는 측면에서 서로 분리, 양 극단의 사상이라 생각하였는데, 제가 잘 못 생각한 것일까요? 계몽주의 사상이 “자연권 사상을 기반으로 자연주의 교육론의 형성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자유와 평등”이라는 이념의 기반을 함께 한다고 해석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ewha2001님의 댓글
ewha2001 작성일무심코 들어왔다가 글을 씁니다. 인문주의 보통 휴머니즘이라고 부르는 것은 문예부흥운동의 근본 정신을 말합니다. 인간성 중시하고 그것을 최대한 실현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사상을 뜻합니다. 인간 본성에 따르는 교육은 111쪽 어디에 나와 있는지요...-.- 인문주의에서 말하는 자연주의는 개인적 인문주의와 사회적 인문주의가 있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 내용은 김병희 외 3인, 유아교육사상사(2010) 책에 제시된 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그 책을 보시면 2번도 해결되실 것 같습니다.
다방구님의 댓글
ldb026
교재에는 해당 표현이 없고, 교수님께서 주신 개요도 자료에는 인문주의 교육이 '인간 본성에 따르는 자연주의 교육 강조'라 나와있습니다.
ewha2001님의 댓글
ewha2001
프린트물은 오늘 확인하겠습니다. 뭐, 비슷한 의미 같아서... ^^ 의문은 좀 해결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그동안 고민을 했습니다. 1번 질문에서 코메니우스께서 말씀?하시는 자연주의는 객관적 자연주의라고 생각합니다. 인문주의의 자연주의는 주관적, 객관적 자연주의로 나눌 수 있고, 이중 코메니우스는 전자에 해당됩니다.
2번은 질문이 많네요. 아래 내용을 보시고 유사한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앞부분에 언급한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자연적으로 교육할 것을 강조하였다'에서 '자연적으로 교육'은 주관적 자연주의에 해당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객관적 자연주의에서 자연은 외계의 자연(according to nature)입니다. 반면 주관적 자연주의는 인간 내부의 자연을 따르는 것이 정도!를 주장하며 성인으로서 아동을 보지 말고, 아동으로서 아동을 보라는 입장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가운데에서 하신 질문, 주지주의-주정주의로 나누는 것은 참... 답하기가 조심스럽네요. '잘못 생각~'에 대한 부분은 제가 판단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질문 뒷부분에 쓰여진 자유와 평등 이념은 계몽주의 사상에 부합합니다. 계몽 운동이 교회의 교권과 절대 왕정에 대항하는 민중의 각성 운동이 자유주의 과학 사상의 전파로 번져나간 것이니까요.
칸트, 괴테, 흄... (저도 읽다가 말았지만)...참고가 됩니다. 이 문제에 대한 동료?에 대한 책임 의식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공부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것 같아 글 올리기가 망설여지네요. 도움이 안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당. ^^
다방구님의 댓글
ldb026
감사합니다, 유아교육 사상 교재가 없어서 주말동안 말씀해주신 교재 급하게 주문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1번에 대한 의문은 아직 남아있는데...
인문주의가 대두하던 14-16세기에는 아직 자연주의가 등장하기 전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인간본성에 따르는 자연주의"라는 것이 그냥 중세의 '초자연주의'를 반박하는, 인간 본연의 자유를 추구한다는 의미의 '자유교육'이 아닐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자유교육이라는 표현을 자연주의로도 표현한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데...
명확치가 않아 찜찜하네요... ㅜ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