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사상] 근대의 유아교육 사상
작성자 ldb026 작성일 2023-01-17 10:05:59
조회수 855회 댓글수 1

1. 각 학자가 주장하는 합자연의 원리를 정리해보았는데,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루소는 코메니우스 합자연의 원리를 기반으로 + 개인의 개성, 특성을 추가, 누적한 것이고 페스탈로치는 루소 합자연의 원리를 기반으로​ +사회성(사회적 공동체)을 추가, 누적했다는 것인가요?

 

코메니우스의 합자연의 원리 : “우리를 둘러 싼 자연의 변화와 법칙”을 발견하여 이런 법칙을 인간의 성장 과정에 적절하게 해석하여 교육하는 것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 : “인간의 내면에 잠재된 각각의 고유성과 성장 단계” 

페스탈로치의 합자연의 원리 : 인간 내부의 힘을 자연의 원리에 따라 계발한다는 점에서 루소와 유사하나, ’사회성(사회의 원리)’에서의 차이(루소는 자연인 양성에, 페스탈로치는 사회적 공동체에 중점?)

 

 

2. 또한 루소의 원리를 실천한 게 페스탈로치라 하셨는데, 이 때, “실천”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시를 들어 설명 듣고 싶습니다!

 

3. 각 학자의 '직관, 감각'에 대한 정의 또한 그 차이가 궁금합니다.

로크와 페스탈로치가 사고, 인식의 과정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유사해보이는데, 이것이 맞나요? 루소의 경우는 코메니우스와 로크, 페스탈로치의 정의 중 어떤 것에 더 가깝나요?​

 

코메니우스의 직관 : 그저 “감각적 수용”만을 의미

로크의 감각 : 감각 통해 경험-> ‘인상’이라 하는 표상의 시작 및 관념의 형성

루소의 감각 : 오감의 감각. 감각교육의 중요성-> 아동기부터!

페스탈로치 직관 : 감각(언어 표현과 사고작용 거쳐)+ 인상 형성=지각

  • 목록

댓글목록

신지원이님의 댓글

givemejin 작성일

1. 루소는 주관적 자연주의, 코메니우스는 객관적 자연주의으로서 나누어지면서부터, 루소는 내면의 자연적 순서를

더 중요시하였고, 페스탈로치는 루소와 코메니우스 모두 영향을 받았습니다. 페스탈로치의 자발성의 원리는

루소의 영향, 기초도야의 원리는 코메니우스의 영향입니다. 

그리고 페스탈로치는 사화성을 강조한 부분은 코메니우스와 루소의 결합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 페스탈로치는 학교를 세운 부분이 '실천'에 예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여~

교수님도 강의 때 페스탈로치 학교 이야기 해주셨고, 네이버에 검색하면 지식백과에 페스탈로치에 대해

 꽤 자세히 나온답니다.

(그리고 사실...예시는 오개념이 형성될 수 있기에 조심스럽네요!)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19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47 [발달]성숙 개념 댓글(1) scw1116 23-02-02 570
5346 아동복지법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댓글(1) tnwl0628 23-02-01 570
5345 [발달] 발달의 상호연관성 궁금해요! 댓글(2) jgg0331 23-01-30 500
5344 [발달] 성숙주의 ‘성숙’의 개념 질문 댓글(3) gyfud8208 23-01-29 577
5343 [사상] 듀이 경험의 원리 댓글(2) jgg0331 23-01-29 494
5342 [아동복지] 보충적 서비스 - 가정조성사업 댓글(1) wjswl0102 23-01-28 633
5341 [발달] 둔감화 치료 댓글(1) jiyen5260 23-01-26 592
5340 [아동복지] 아동학대 댓글(2) jgg0331 23-01-17 666
열람중 [사상] 근대의 유아교육 사상 댓글(1) ldb026 23-01-17 857
5338 [아동복지] 매슬로의 욕구위계론 댓글(1) jgg0331 23-01-16 680
5337 ´교육원리´ 질문에 관한 답안 작성 시 댓글(1) guswjd5237 23-01-16 487
5336 [장애 유아 통합 교육] - 교육과정 수정 전략 환경적지원 댓글(1) snfla11 23-01-13 642
5335 [사상] 근대 교육사조 관련 질문 댓글(4) ldb026 23-01-13 718
5334 [사상]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질문 댓글(2) ldb026 23-01-13 484
5333 [아동복지]표현에 대한자유 댓글(2) sun951108 23-01-12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