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놀이의 지속성 판단기준 | ||
---|---|---|---|
작성자 | paho1367 | 작성일 | 2018-08-10 10:59:27 |
조회수 | 1,103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교수님!
문제풀이 강의에서 '놀이'에 대한 인터넷 강의를 어제 수강하게 되었는데요,
2017년도 기출) 사회극놀이 준거에서
교수님께서 설명해 주신 기준대로라면 예시에서 '행동 및 상황 가작화'는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나요?
그리고 예시에 찾을 수 없는 것이 '놀이의 지속성'이라고 했는데, 판단 기준이 10분 이상이잖아요.
10분 이상이라는 말은 10분도 포함한 다는 것이지 않나요? 왜 예시에서 알 수 없는 사회극놀이 준거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Howes 사회 인지적 놀이에서 개론반땐 유형과 범주가 다르니 주의해서 외우라 하셨는데,
문풀에서는 '유형'을 묻고 있음에도 최신자료 기준으로 풀기로 합의했다(?)고 하셔서,
그럼 1992년도꺼만 외우면 될까요?
+Johnson,Christie&Yawkey와 Johnson,Christie&Warrdle꺼로 알려주셨는데,
그럼 개론책의 '교사의 놀이개입에 대한 통합적 범주체계'는 또 다른 것인가요?
아니면 Wardle과 함께 만든 것인가요?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일화기록이 10분 간 이루어졌으나 유아들은 일화기록이 끝나기 전에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지속성의 요소를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네~ 1992년도 것만 외우세요.
3. 통합적 범주체제는 교사의 개입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최종 자료로 배포한 범주를 기준으로 공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