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전조작기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8-12 02:19:46 |
조회수 | 2,031회 | 댓글수 | 1 |
감각 운동적 지능-표상적 지능-상징적 지능 순으로 발달하는 건가요?
2 상징과 표상 능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대상을 표상하는 '상징들을 의도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전조작기의 지능은 환경을 표상하는 '상징의 조작'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전조작기라 조작 전 단계로 알고 있는데
두 문장의 조작이 어떤 것인지 감이 안 와요...
3 문풀 p158 20-1
전개념기 아동은 이를 가상놀이 그림 언어 등으로 표출한다
전조작기가 아니라 전개념기만 해당되는 건가요?
상관없을 것 같은데 콕 집어 전개념기라고 적혀 있는 이유가 있나 해서요...
4 찰흙을 넓적하게 눌러 와 빈대떡이다 하는 것은 상징적 사고이면서 상징놀이도 되나요? 블록을 붕붕 소리내며 자동차 놀이 하는 것은 상징놀이 같은데 상징적 사고가 들어가면 다 상징놀이가 되는 건지 궁금해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감각운동적 사고란 신체적 움직임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표상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표상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내적으로 인식한다는 뜻입니다. 샘이 사과를 떠올렸을 때 그것은 사과를 표상한 것 입니다. 감각운동적 사고의 말기에 도달하면 아가들은 이런 내적 표상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전조작기 동안 이런 표상들이 계속 형성되고 이를 다양한 유형의 기호들로 변환하여 정보를 계속 처리함으로써 상징적 사고의 발달이 이루어집니다.
2. 상징의 조작이란, 상징을 정보로 처리한다는 뜻 입니다.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등에서 조작의 의미는 지적인 문제해결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조작의 의미는 피아제 이론 앞 부분 용어에 대한 해설에서 인지구조- 도식과 조작 부분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피아제 이론이 모든 사고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은 아니고 주로 과학적인 문제해결 사고의 기원과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즉 형식적 문제 해결과 같은 사고 능력이 어떻게 발달해온 것인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이 이론에서 조작의 의미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라 피아제도 본인의 저서에서 이 부분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단계 이론에서 특정한 단계는 전 단계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능력이 출현에 따른 것 입니다. 전조작기는 문제해결 사고를 위한 준비 단계로서 전개념기와 직관적 사고기로 구분되는데 전개념기에는 표상의 형성에 따른 기호적 기능의 발달이 주를 이루고 이 능력은 전조작기 동안 지속해서 일어납니다. 하지만 이 단계는 아직 개념들은 충분히 발달하지 않다고 본 석이지요. 하지만 전개념기를 바탕으로 일정한 시점에서 유아들은 주변 세계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게 되는게 이런 개념의 대부분은 대상의 본질적인 측면보다는 외적 특징 들 즉 외양들에 기반한 인상에 의존하게 되므로 피아제는 이런 사고를 직관적 사고라고 한 것입니다.
4. 상징적 사고가 나타나는 상징 놀이 맞습니다. 피아제는 놀이는 새로 획득한 기능이나 개념을 연습하는 것이라보 보았기 때문에 상징 놀이는 상징 기능을 연습하는 것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