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자연탐구) 지식의 유형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8-13 05:52:34 |
조회수 | 1,245회 | 댓글수 | 1 |
반죽이 질어졌어요는 경험에 의한 거니까 물리적 지식이고
반죽이 질어질 것 같아요는 머리에서 구성한 지식이니까 논리.수학적 지식이라고 하셨는데
내용과는 상관없이 각 사례에서 지식을 얻은 방법으로만 구분하는 건가요?
저는 '반죽이 질다'는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든
그 내용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로 판단하는 건 줄 알았어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반죽이 질어질 것 같아요는 머리에서 구성한 지식이니까 논리.수학적 지식이라고 하셨는데
내용과는 상관없이 각 사례에서 지식을 얻은 방법으로만 구분하는 건가요?
저는 '반죽이 질다'는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든
그 내용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로 판단하는 건 줄 알았어서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선생님 ' 짙어졌어요'는 물리적 지식이고 '짙어질 것 같아요'는 논리수학적 지식이라고 제가 이야기한 것 맞을까요? 아무리 봐도 그럴리가 없을 것 같은 내용이라서요.
세 가지 지식의 유형은 피아제가 유아기에 학습하기 적합한 지식으로 제시한 것이고 내용과 상관 없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내용과 상관있어요
물리적 지식은 사물이나 자연현상 등의 본질이나 특성에 관한 이해와 관련된 것이고 논리수학적 지식은 사물이나 현상등의 관계에 대한 내적 추상화에 의해 구성된 지식, 즉 내적으로 추상적인 관계를 구성한 것, 사회적 지식은 사람들의 임의적 약속이나 협의에 의해 만들어진 지식입니다.
반죽과 관련해서 '반죽이 질다'라는 것은 우리가 추상화한 내용이 아니라 밀가루 자체의 특성입니다. 하지만 '물을 한 컵 넣었을 때보다 두 컵을 넣으니 더 많이 질어졌다. '라고 한다면 논리수학적 지식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