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발달 순응 교육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7-29 17:44:36 |
조회수 | 1,242회 | 댓글수 | 2 |
1 페스탈로치 연속적 발달의 원리 설명하면서
고유한 내적 필연성을 따라 발달함- 이 부분이 발달 순응 교육과 관련 있다고 하셨어요
발달 순응 교육은 자기 활동의 원리보다 계속성의 원리와 더 가까운 건지
어떤 점에서 그런 건지 궁금해요
2 발달 순응 교육은 루소의 소극적 교육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어떤 점에서 그런가요?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 영향을 받았다고 하면 안 되나요?
고유한 내적 필연성을 따라 발달함- 이 부분이 발달 순응 교육과 관련 있다고 하셨어요
발달 순응 교육은 자기 활동의 원리보다 계속성의 원리와 더 가까운 건지
어떤 점에서 그런 건지 궁금해요
2 발달 순응 교육은 루소의 소극적 교육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어떤 점에서 그런가요?
루소의 합자연의 원리 영향을 받았다고 하면 안 되나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페스탈로치 아니고 프뢰벨이겠지요?
발달 순응교육은 발달이 연속적 과정으로 진행되므로 교육은 이러한 발달의 과정을 쫓아가면서 이루어져야한다는 뜻 입니다. 연속성을 계속성과 동일한 의미로 볼 때 계속성의 원리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네요.
또한 프뢰벨의 발달순응교육의 개념은 룻소의 소극적 교육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적극적 교육 즉 발달을 앞서가거나 어린이의 발달을 무시하고 성인에 의해 이끌어지는 교육을 반대한다는 점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선생님, 질문의 내용이 계속 이론에서 제시하는 내용 말고 샘이 관련있다고 생각하는 내용이 왜 안되는지 물어보시는 게 많은데요. 이론에 관한 내용들은 교재등에 제시된 내용대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이를테면 합자연의 원리와 소극적 교육의 원리는 당연히 서로 관련된 내용이므로 프뢰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프뢰벨의 발달순응교육은 합자연의 원리와도 연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시험 준비를 하고 있고 출제자들은 유아교육 사상 관련 서적 들이나 이론서들에 따라 출제를 할 것 입니다. 따라서 이미 제시된 내용들에 따라 기억하시고 시험 문제를 풀어야지 공부하는 사람의 이해 방식에 따라 이론을 재해석 하시면 시험에는 오답이 될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