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사론] 심화문제에서 교사발달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wildfox | 작성일 | 2018-07-26 12:01:32 |
조회수 | 1,374회 | 댓글수 | 1 |
심화문제 p.8 6번에 2)에서 허버만의 단계를 묻는 문제인대요
사례로 최교사: 저는 요즘 같으면 교사직을 그만 두고 싶다는 생각을 자주해요
아이들도 예전 같지 않아요 문제행동이 심해서 훈계를 하면 엄마한테 이르겠다고
하거나 사춘기 청소년처럼 “아 진짜 알겠다고요 네네” 그러면서 반항을 합니다
경력이 오래돼도 달라지는 것도 없고 초임교사에 비해 차별화된 업무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매일매일 현재의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고 있다보면 ‘과연 이게 천직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라고 나오는데 저는 현재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고 있다는 것에서 평정상대적 거리감
단계나 보수주의 단계로 생각을 했는데 답이 재평가자기의심 단계이더라구요ㅠ
과연 이게 천직일까? 이부분에서 재평가자기의심 단계로 볼 수 있는건가요?
그렇자면 현재의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는 부분에 대해서는 왜 평정상대적 거리감단계나
보수주의 단계가 될 수 없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사례로 최교사: 저는 요즘 같으면 교사직을 그만 두고 싶다는 생각을 자주해요
아이들도 예전 같지 않아요 문제행동이 심해서 훈계를 하면 엄마한테 이르겠다고
하거나 사춘기 청소년처럼 “아 진짜 알겠다고요 네네” 그러면서 반항을 합니다
경력이 오래돼도 달라지는 것도 없고 초임교사에 비해 차별화된 업무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매일매일 현재의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고 있다보면 ‘과연 이게 천직일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라고 나오는데 저는 현재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고 있다는 것에서 평정상대적 거리감
단계나 보수주의 단계로 생각을 했는데 답이 재평가자기의심 단계이더라구요ㅠ
과연 이게 천직일까? 이부분에서 재평가자기의심 단계로 볼 수 있는건가요?
그렇자면 현재의 자리를 습관적으로 지키는 부분에 대해서는 왜 평정상대적 거리감단계나
보수주의 단계가 될 수 없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
댓글목록
saetbyeol9님의 댓글
saetbyeol9 작성일
'문제 행동에 대한 훈계를 하지만'(직업 내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하려고 하지만) 잘 해결되지 않고,' 경력이 오래되도 차별화된 업무가 있는 것이 아니다고 생각하는'(직업내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관심을 갖는) '과연 이게 천직일까?'(자기 자신에 대한 재평가와 자기 의심이 일어남)이라고 생각해 재평가 자기의심 단계라고 저는 이해했습니다. ()안의 내용이 재평가 자기의심의 설명입니다.
평정 상대적 거리감,보수주의 단계는 교사의 연령이 학생과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학생과의 거리감이 생기고 자기 정열이 감소함에 따라 평정감이 증대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교사가 나이가 들고 그에 따라 열정이 줄어들고 또 과거의 것에 향수를 느끼며 그것을 고집하려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약에 답을 어떤 것을 써야할지 잘 모르겠을 때 저는 상황에 좌절하고 내가 잘하고 있는건지 교사로서의 나를 되돌아보면 재평가 자기의심단계, 나이가 들어 학생과의 나이차가 많이나며 열정이 감소하는 등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면 평정 상대적 거리감의 단계라고 생각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