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역할가작화,역할이행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patsyduck2 | 작성일 | 2018-07-09 20:48:44 |
조회수 | 1,511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안녕하세요
기출문제자료집 (놀이파트) 156페이지 13번 문제예요! (혹시 번거우실까 지문 찍어 파일에 첨부했어요)
지문에서 맨 아랫줄에서 세번째 부분에
지수가 "그거 재밌겠다. 난 미용사할래." 라고 하는 부문이 역할이행도 되고 초의사소통 도 답안이 된다고 해설되어있는데요
초의사소통인 이유는 역할을 배정해서 인 것을 이해했어요 ! 그러나
난 미용사할래 라는 것은 아직 놀이가 시작되지않았고 무엇을 할 것인지 정하는 상황의 언어인데 이것이 왜 역할이행에
들어갈까요?
저는 설명예시에 '나는 엄마야' 라고 자신의 역할을 언어로 설명한다고 이해를 하고 있었어서
나는 미용사야 가 아닌, 미용사할래 가 역할이행에 왜 속하는지 이해가 잘안됩니다 ㅠㅠ
다른 해설을 보아도 그냥 아 ' ~할래' 도 그냥 역할이행인가보다 라고 단순하게 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설명 부탁드려요 ㅠㅠㅠㅠㅠㅠ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자신의 역할에 대한 선언을 하는 것은 역할 이행에 포함되죠?
"나는 미용사야. 나는 미용사 할래" 어감의 차이가 있을 뿐 자신의 역할에 대한 선언에 해당합니다.
문제를 풀 때 유의해야하는 것은
지문에서 "그거 재밌겠다. 난 미용사 할래"라는 유아의 말 전체가 아니라
"난 미용사 할래"에만 밑줄이 그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출제자가 역할이행 또는 역할 가작화에 초점을 맞추어서 문제를 출제하고자 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죠.
유아가 혼자 놀이나 병행놀이를 하지 않는 이상 역할의 가작화와 언어적 의사소통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문제가 계속 출제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역할이행, 초의사소통 모두 정답 처리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patsyduck2님의 댓글
patsyduck2 작성일제가 너무 앞뒤까지 다 따지고 보려고 했나봐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