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개론] 동료장학 및 부모교육 질문 +기타 | ||
---|---|---|---|
작성자 | paho1367 | 작성일 | 2018-06-28 00:14:39 |
조회수 | 1,570회 | 댓글수 | 3 |
Q1) 개론책 p.921에 동료 장학의 방법에 '반성적 저널쓰기'와 '교사의 이야기쓰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두 가지는 자기장학의 방법이 아닌가요?
Q2) 결정적 시기 VS 민감기
:비슷한 의미이나, 결정적 시기는 이 시기를 놓치면 같은 환경의 영향도 효과가 없다는 것이고,
민감기는 특히 민감한 시기인데 이외의 시기에도 발달은 가능하다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Q3) 개론책 p.729에 '부모들이 장애 요인적 언어표현을 사용하는 이유' 中 2번에 역할 개녑의 혼동에서
'이중적 역할개념'이라고 적혀있는데, 어떤 역할과 어떤 역할을 혼동하는 것인가요?
Q4) 개론책 p.729에 '고든의 자녀 양육 원리' 中 두 번째 단계인 '문제의 소유자 파악하기'에서
부모가 문제의 수요자: 유아의 행동이 부모의 권리나 행동을 방해한다.
이 때 '나-전달법'을 사용한다고 서술되어있는데, '유아의 행동이 부모의 권리나 행동을 방해하는 것'이
왜 부모가 소유한 문제의 서술인가요?
Q5) 수업 중간 중간에 '데일리 노트'를 예시로 언급하신 적이 몇 번 있으셨는데, 정확히 어떤 것인가요?
인터넷 검색해도 나오지 않아요ㅠㅜ 그냥 개별 유아마다 특이사항 있으면 적는 노트 같은 건가요?
원아수첩?같은건가요?ㅠㅜㅜ
Q6) 원초적인 질문인데, 암기하다가 '도구적 수단'이라는 말이 외워지지 않아서요..
이 말이 존재할 수 있나요...? 도구와 수단이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데,
어떻게 도구가 수단을 수식할 수가 있죠?ㅠㅜㅜ
문제가 많아 당황스러우시겠지만, 소중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ㅠ
댓글목록
ABCDEFG님의 댓글
minheeh0927 작성일
Q2. 에 대한 답은 제가 생각하기에 이렇습니다~
결정적 시기는 동물행동학에 근거한 용어, 그리고 민감기는 몬테소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구분을 하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것 같아요. 선생님이 생각하신것 처럼 결정적 시기는 딱 그시기에만 학습할 수 있다는 비가역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며 예를 들면 각인이 있습니다. 민감기는 특정한 요소에 대해 특별한 민감성이 일정기간 나타나는것이며 이후에 유예된 영향력이 있을 수는 있지만 가역적이라는 점으로 구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반성적 저널이나 교사이야기는 자기 장학의 방법이라기 보다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위한 도구라고 할 수 있겟네요. 이 방법들을 자기 반성의 도구로 사용할수도 있고 작성 후에 동료 교사들과 공유하며 토의를 하거나 협의시 사용할수도 있답니다.
2. 결정적 시기와 민감기는 위에 선생님이 정확하게 설명해주셨구요
3. 일반적으로 부모들은 자신이 실수를 저지르고 오나전하지 못한 사함이라는 것을 인식하지만 자녀를 기르는 부모로서는 완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이로 인해 자녀가 실수를 햇을 때 수용하지 못하고 부모로서 가르치거나 훈계하려고 함. 이런 부모의 이중적인 역할 개념 혼동 때문에 부모- 자녀 사이에 갈등과 좌절이 생기고 소통이 막히게 된다는 뜻 입니다.
- 저도 그런 것 같아요. 친구들과의 관계와 달리 자녀들과의 관계에서는 항상 완전한 부모의 입장에 서서 자녀의 잘잘못을 따지고 훈계하려 드는 자신을 자주 발견하게 되네요.
4. 예를 들면 부모가 바빠서 자녀와 놀아주지 못하는 경우 자녀가 부모의 일을 방해하고 이론 인해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부모는 자녀를 훈계하기 보다는 자신의 입장을 솔직하게 밝히고 자녀에게 협조를 구하라는 의미입니다.
5. 데일리 노트는 무슨말인지 저는 언급한 기억이 없습니다. 혹시 공부할 때 사용하는 노트 말하나요? 예전에 제가 공부할 때 매일 노트에 다음 날 할일을 순서대로 적어 두고 그 순서대로 공부한 뒤 밤마다 수행에 대한 평가를 한 뒤 다음 날 계호기을 세웠단 이야기 한것 같은데요......
만일 현장에서 사용한다면 매일 몇명의 유아를 정해놓거나 특별한 일이 있는 유아들에 관하 일화기록 정도로 간략하게 작성하는 것이지 않을까 합니다
6. 도구적 수단이란 용어를 어디에서 사용했을까요 공격 행동 유형에서 ?
도구와 방법이 동의어는 아니니 사용 가능합니다. 여기서 도구적 수단이란 도구적 목적을 갖거나 도구적 기능, 도구로 사용되었다라는 정도의 의미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마도 영어의 instrumental means를 우리 말로 직역하다보니 생겨난 용어인듯 합니다.
그리고 특정 용어에 지나치게 민감한것 같아요. 잘못된 용어가 아니라면 말그대로 받아 들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제 한창 예민해질 때 입니다. 가급적 마음 다독여 가면서 평상심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공부해보세요
오늘도 무척 덥습니다. 건강 관리도 잘 하시기를 ^^&
지윤합격님의 댓글
paho1367
많은 질문에도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 5번 데일리노트는 아람반1'면접'때 조별발표 하신 선생님께서 사례로 사용하셨길래, 현장경험이 없는 저는 어떤 것인지 몰라 여쭈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