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 준비도 관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seeclos2 | 작성일 | 2018-06-22 23:11:06 |
조회수 | 1,271회 | 댓글수 | 1 |
교수님~~의사소통 기춞 문제 복습하다가 의문이 들었는데요.
준비도라는 관점에 대해 답을 요구할 경우 지문을 읽고 그에 적합한 읽기 준비도/읽기,쓰기 준비도/쓰기 준비도라고 써야하는지
아니면 이것들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준비도라고 써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읽기 준비도와 발생적 문식성을 비교했으니 읽기 준비도로만 이해했는데 기출을 풀 때 약간 혼동이 오더라구요~~어떻게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지 더 알고 싶어요ㅜㅜ 게젤이 이야기한 준비도는
준비도가 나타나면 그에 적절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니깐..좀 더 큰 범위로 해석하여 준비도라고 써도 답에는 지장이 없는지....명쾌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준비도는 말씀하신대로 매우 포괄적이지요.
발생적 문식성과 비교하여 준비도의 개념을 요구할 때는 문해교육에 있어서의 준비도를 의미하므로
"읽기/쓰기 준비도"로 제한하여 답을 작성하는 것이 맞습니다.
성숙주의와 행동주의에서는 읽기가 완성되고 난 후 쓰기를 가르쳐야한다고 보기 때문에
많은 각론서에서 읽기 준비도와 발생적 문식성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지문에서 읽기만을 다루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면 "읽기(쓰기) 준비도" 로 답을 작성하면 배점에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명쾌했는지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