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게젤&몬테소리 질문입니다.(기출문제집) | ||
---|---|---|---|
작성자 | ckdtjqtkfkd | 작성일 | 2018-06-20 11:37:21 |
조회수 | 1,433회 | 댓글수 | 1 |
따뜻한 햇살이 기분 좋은 날이네요 교수님~^^
제 질문은
1. 기출문제집 27p-15번 문제(게젤)
첫째 줄에 '성숙은 개체의 전 성장의 형태와 그 변화정도를 결정하는 성장의 내적 요소에 해당한다'라는 문장에서 성숙은 성장의 내적 요소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숙은 유기체의 내적 변화와 환경의 영향에 의한 변화를 포함하는 의미로, 성장보다 더 큰 요소 아닌가요?
왜 성숙을 성장의 내적 요소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2. 기출문제짐 36p-(2)번 문제(몬테소리)
보기 중 ' d: 유아 스스로 특정과제를 숙달하고자 강하게 집중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의 보기는 몬테소리의 교육원리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처음에는 스스로 과제를 숙달한다는 점으로 보아 '흡수정신' 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상화'도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가지 원리 모두로 해석할 수 있는 문장일까요?
제 오개념의 끝은....어디일까요ㅠㅠ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기출예제인데 정확한 출처를 찾지 못했습니다. 중략 이전에서 언급하고 있는 성숙 및 성장의 개념과 중략 이후에 제시된 개념이 서로 상반되는 설명이긴한데 중략된 부분에 무언가 관련 내용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미루어 짐작해보면 중략 이전의 '성장'이라는 용어는 발달 심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인 '발달'의 의미가 아닐까 합니다. 반면 중략 이후에 제시된 문장에서 성장은 양적 변화만을 의미하는 내용이라고 추론하면 전체의 의미가 이해됩니다. 일반적으로 발달 심리학에서 '성장'이란 용어는 양적인 변화 즉 몸무게나 키으 증가 같은 부분을 언급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고 '성숙'은 질적인 기능적 분화를 의미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앞에서 설명 드린 내용으로 유추해서 이해하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2.제시된 사례는 정상화를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문장의 끝 부분에 보면 " ... 집중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라고 되어 있어 흡수정신을 설명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히려 민감기가 더 관련 있어 보입니다. 민감기 동안 이런 흡수정신이 왕성하게 나타나고 이를 통해 정상화된 어린이들이 나타내는 보인다고 할 수 있지요
다만 지문은 특정 용어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몬테소리의 이론에 부합하는 설명을 제시한 것이므로 흡수정신, 민감기, 정상화 중 하나를 지칭한 문장으로 보기는 애매합니다.
셋을 굳이 구분한다면
1. 흡수정신: 유아의 인지능력
2. 민감기: 특정 기능과 관련하여 왕성한 지적 흡수력이 나타나는 시기
3. 정상화: 작업에 진정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집중, 반복하며 기쁨을 느끼는 현상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아이미소 개론 교재 298~ 299를 다시 한번 읽어 보세요
반면 흡수정신은 어린이가 환경과의 관계를 통해 스스로 배울 수 있는 인지 능력 자체를 의미합니다. 흔히 흡수정신을 비유할 때 거대한 스펀지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