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격리와 권리박탈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
---|---|---|---|
작성자 | high7603 | 작성일 | 2022-12-26 10:12:28 |
조회수 | 567회 | 댓글수 | 1 |
격리에서 긍정적 보상은 또래의 인정과 수용이라고 배웠어요 그런데 권리박탈 예시 중에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쌓기영역에서 놀지 못한다는 것이 있었어요 쌓기 영역에서 놀지 못하면 그 영역에서 놀고 있는 또래 사이에 수용되지 못하기 때문에 격리와 비슷하게 느껴져요 그래서 격리와 권리박탈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인터넷이 찾아보니 타임아웃에 비배제적이 있는데 비배제적 타임아웃 예시로 음악을 좋아하는 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경우에 음악을 꺼서 못 듣게 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음악을 듣지 못한다고 소속감이 박탈된 것은 아닌데 아것이 왜 격리에 해당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갑니다 박탈같아요 박탈과 격리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격리와 타임아웃은 같은 의미로 쓰이는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인터넷이 찾아보니 타임아웃에 비배제적이 있는데 비배제적 타임아웃 예시로 음악을 좋아하는 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경우에 음악을 꺼서 못 듣게 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음악을 듣지 못한다고 소속감이 박탈된 것은 아닌데 아것이 왜 격리에 해당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갑니다 박탈같아요 박탈과 격리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격리와 타임아웃은 같은 의미로 쓰이는게 맞나요?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조교쌤임님의 댓글
아이미소조교 작성일
이전 글을 찾아보시면 좋겠어요^^
'격리' 라고 검색 해보시면 권리박탈과 관련되어 나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