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애착 이론에서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wildfox | 작성일 | 2018-06-02 15:08:37 |
조회수 | 1,134회 | 댓글수 | 2 |
교재에서 애착이론을 보면 생태학적 접근에서 애착이 생득적 속성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발달심리 교재 p482쪽을 보면 보울비의 애착 이론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그 부분에서 '동물 행동 학자들은 학습이 없이는 발달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믿는다.'
즉 애착이 자동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친숙한 얼굴과 낯선 얼굴을 변별하는 것을 학습
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보울비의 입장에서 사회관계에서는 애착이
생득적 속성이고 발달교재에서는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나와 있어서 어떻게 생각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ㅠㅠ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생득적 능력이지만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 입니다. 그 밑에 부분의 지문을 보면 낯선 얼글을 변별하는 능력이 유전적으로 진화된 인간의 본능이지만 이러한 본능도 적절한 경험을 통해 학습되지 않는다면 결국 애착 형성에 실패할 수 밖에 없겟지요. 예를 들어 성숙이론에서도 생물학적 준비도가 중요하지만 이런 성숙에 따른 적절한 환경을 통한 학습 기회가 주어지짖 않는다면 발달은 지체될 수 밖에 없겠지요?
suhi님의 댓글
wildfox
우와 감사합니다 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