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읽기] 셜즈비 | ||
---|---|---|---|
작성자 | idkim97 | 작성일 | 2018-05-23 18:43:47 |
조회수 | 1,440회 | 댓글수 | 1 |
1.이야기가 형성되는 읽기단계와 문자 언어식 읽기 시도 단계 중 글지늘 보지않고 읽기°이야기하기를 혼합하여 읽는 형태가 둘 다 청중을 의식하여 읽는 특징이 있는데 차이점은 이야기가 형성되는 읽기단계는 구어체로 읽는거고 후자는 문어체로 읽는건가요?
2. 문자 보며 읽기1단계 특징 중 한 두개의 아는 단어닌 글자에 집중해서 읽는 행동을 보인다는게 있는데 이건 문자언어식 읽기시도 단계보다 낮은단계아닌가요? 문자언어식 읽기시도 단계에 원본대로 읽기가 원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읽으려고 노력하는건데 그러면 이미 글자를 알고있어야 가능한거아닌가요.. 헷갈립니다ㅠㅠ
2. 문자 보며 읽기1단계 특징 중 한 두개의 아는 단어닌 글자에 집중해서 읽는 행동을 보인다는게 있는데 이건 문자언어식 읽기시도 단계보다 낮은단계아닌가요? 문자언어식 읽기시도 단계에 원본대로 읽기가 원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읽으려고 노력하는건데 그러면 이미 글자를 알고있어야 가능한거아닌가요.. 헷갈립니다ㅠㅠ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이야기가 형성되는 시기'로 문제를 내고 싶다면 구어체 읽기 행동을 구분 기준으로 할 것입니다.
2. 형식적인 읽기가 시작되는 기준선을 정하라 말씀드렸지요?
문자 언어식 읽기 시도는 아직 형식적인 읽기 시작 전입니다.
원본대로 읽기는 외워서 음성과 글자를 대응하며 읽는 행동이고
한 두개의 아는 단어나 글자에 집중해서 읽는 행동은 진짜로 문자를 읽는 행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