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친사회적 추론 능력의 발달, 데이몬 공정성 이론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xodus68 | 작성일 | 2018-05-20 23:46:26 |
조회수 | 2,204회 | 댓글수 | 1 |
1. 아이젠버그의 친사회적 추론 능력의 발달에서
2단계인 욕구충족적,실용적 추론 과 4단계인 승인과 대인관계, 상투적 추론에서 각각 번역이 달라서 2가지씩 써있는 건가요?
아니면 한 가지 의미로 통으로 암기해야 하는 건가요?
2.데이몬의 공정성 판단 이론에서 2-B 공정성과 상보성의 통합의 예가 무엇이 있을까요?
도덕적 상대성의 고려와 구분이 잘 안되네요ㅠㅠ
궁금합니다!!!
2단계인 욕구충족적,실용적 추론 과 4단계인 승인과 대인관계, 상투적 추론에서 각각 번역이 달라서 2가지씩 써있는 건가요?
아니면 한 가지 의미로 통으로 암기해야 하는 건가요?
2.데이몬의 공정성 판단 이론에서 2-B 공정성과 상보성의 통합의 예가 무엇이 있을까요?
도덕적 상대성의 고려와 구분이 잘 안되네요ㅠㅠ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각 단계의 특징을 2가지로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2단계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 시켜주는 쪽으로 가치 보다는 실용적인 추론을 하고
4단계에서는 타인의 승인 같은 대인관계 또는 타인의 인정에 기반한 상투적 추론을 한다로 암기해 보셔요
2. 2-A 단계에서는 도덕적 상대성의 고려와 특수한 요구를 갖는 사람들에 대한 우선적인고려를 동시에 할 수는 없지만 각각의 고려가 이제 나타난다는 의미이고
2-B 단계가 되면 도덕적 상대성과 특수한 필요를 갖는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두 개의 생각을 서로 보완하여 통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은 각자의 능력에 적합한 보상을 받아야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사회적 약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것이 공정하다는 판단을 할 수 있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