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평가) 일화기록법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4-12 03:02:39 |
조회수 | 2,130회 | 댓글수 | 1 |
일화기록은 특별한 기록 양식 없이 시간 사건에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나 기록 가능하고 예기치 못했던 행동을 기록
-> 그럼 계획 없이 하는 게 맞지요? 그게 표본식 기록과의 차이라고도 하셨고요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를 하는 시기는 연간 계획에 포함하나
일화기록과 포트폴리오를 위한 활동 결과물은 사전 계획 없이 현장에서 수집한다 -> 틀린 선택지인데 일화기록도 반드시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진행되어야 한다고 해설이 써 있어요 해설이 틀린 걸까요?
아이미소 5권 193쪽 56번 문제에 일화기록의 예로
'용우가 또래들과 어떻게 놀이하는지' 관찰해 보았다고 써 있는데
-> 처음부터 목적을 갖고 계획적으로 접근한 게 아닐까요?
이 예시가 표본식 기록이 아닌 이유를 모르겠어요
언제 어디서나 기록 가능하고 예기치 못했던 행동을 기록
-> 그럼 계획 없이 하는 게 맞지요? 그게 표본식 기록과의 차이라고도 하셨고요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를 하는 시기는 연간 계획에 포함하나
일화기록과 포트폴리오를 위한 활동 결과물은 사전 계획 없이 현장에서 수집한다 -> 틀린 선택지인데 일화기록도 반드시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진행되어야 한다고 해설이 써 있어요 해설이 틀린 걸까요?
아이미소 5권 193쪽 56번 문제에 일화기록의 예로
'용우가 또래들과 어떻게 놀이하는지' 관찰해 보았다고 써 있는데
-> 처음부터 목적을 갖고 계획적으로 접근한 게 아닐까요?
이 예시가 표본식 기록이 아닌 이유를 모르겠어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계획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관찰 행동을 정해놓지 않는 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언제 어느 장면에서 관찰할지 정도의 관찰 계획은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표본식 기록과의 차이점은 표본식은 특정 영역에서 관찰하는 행동의 전체를 기록하는 반면 일화기록은 특정 사건에 초점을 두어 기록한다는 점에서 구분됩니다
2. 일화 기록이 의미있는 자료가 되려면 관찰 계획은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즉 체크리스트나 평정척도는 관찰 행동을 먼저 정의한 뒤 그 행동의 발생 여부나 행동의 질을 확인하여 기록한다면 일화기록이나 포트폴리오는 행동은 정해 놓지 않지만 관찰 영역이나 시간 정도는 ㅁ미리 계획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효과적인 관찰을 위해 고려할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표본식 기록은 일어난 사건들을 보다 상세하게 전체적으로 기록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시된 자료는 용우에게일어난 행동에만 초점을 두어 기록하고 있어 표본식 기록으로 보기에는 어렵고 일반적으로 표본식 기록을 현장에서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보다 정확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유아 평가 관련 각론서에서 표본식 기론에 대한 부분을 공부하시면 확실하게 이해가 되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