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평가) 행동목록법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4-12 09:35:14 |
조회수 | 1,399회 | 댓글수 | 1 |
권 교사는 유나의 사회적 기술 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에 관찰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항목을 체크하는
행동목록법을 사용하였다 -> 맞는 보기
행동목록은 행동 유무를 알 수 있고
발달의 정도를 보는 건 평정 척도가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
행동목록을 여러 번 사용하면 변화를 알 수 있다는 뜻으로 발달 정도라는 말을 쓴 걸까요?
둘 다 발달의 정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것에 적절하다고 봐도 되나요?
그럼 유무 여부와 정도 수준이라는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 같아 질문합니다
사전에 관찰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항목을 체크하는
행동목록법을 사용하였다 -> 맞는 보기
행동목록은 행동 유무를 알 수 있고
발달의 정도를 보는 건 평정 척도가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
행동목록을 여러 번 사용하면 변화를 알 수 있다는 뜻으로 발달 정도라는 말을 쓴 걸까요?
둘 다 발달의 정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것에 적절하다고 봐도 되나요?
그럼 유무 여부와 정도 수준이라는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 같아 질문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기출문제 관련 내용이군요. 이 문제가 좀 문제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행동목록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 동일한 행동에 대해 반복적으로 관찰하면 이전에 비해 할 수 없던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알 수 있으므로 그런 점에서 발달 정도를 알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행동목록은 행동의 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지요? 그런 경우에는 확실하게 평정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좀 물의가 있는 문제이긴 하지만 출제의 의도가 그렇다니 뭐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