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동작] 동작교육 접근법 중 사례 질문있어요~ | ||
---|---|---|---|
작성자 | oops1029 | 작성일 | 2018-04-05 18:57:06 |
조회수 | 1,310회 | 댓글수 | 1 |
교재 아이미소2 p190 4,5세 공간, 힘, 시간 등의 움직임 요소을 활용하여 움직인다 아래에 설명을 보는데 거기 설명에 만4.5세 유아가 동물이나 기구 , 혹은 다른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 두드러지는 움직임의 특징적 요소를 파악한 후/ 이를 자신의 신체로 표현해 보도록 할 수 있다. 이걸 동작교육 접근법에서 사례로 이용하면 신체적 접근법 중 갤러위 개념적 접근법이나 통합적 접근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나요?
계열화 6단계에서 탐색 발견 조합 까지의 순서로 이해해도될까요...?
여기에 ~척 해보자 하면 극적 접근법으로 갈 수도 있는거지요?
계열화 6단계에서 탐색 발견 조합 까지의 순서로 이해해도될까요...?
여기에 ~척 해보자 하면 극적 접근법으로 갈 수도 있는거지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접근법은 어떤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즉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1. 움직임 요소, 동작 기술 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여, 갤러위가 제시한 움직임 교육의 각 단계를 적용한다면 갤러위의 개념적 접근법이 될 것이고
2. 생활주제나 문화적 주제를 선정하여 ~처럼 움직여보기로 (모방적 움직임) 시작하여 유아들의 효과적인 표현 능력이 증진되었을 때 일련의 주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극적 접근법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 입니다.
즉 접근법은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단편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아니라 어떤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등을 적용하여 교육을 할 것인가와 관련된 일련의 수업(교육과정) 모형을 의미합니다
샘이 질문한 것처럼 만일 일련의 사례가 주어지고 어떤 동작교육 접근법인가를 물어본다면 판단이 가능한 단서가 주어질 것 입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그 내용은 동작 접근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가 아니라 동작교육의 내용 중 동작 요소를 인식하도록 돕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례라서 어떤 접근법인지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기출문제에서도 동작 접근법을 물어볼 때는 특정 접근법에 대한 일련의 설명을 주고, 제시된 사례와 연관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