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역할 이행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4-02 04:09:21 |
조회수 | 1,402회 | 댓글수 | 0 |
역할 이행의 정의에 혼란이 왔습니다
질문 전 검색해 보니 다른 연도에 저와 같은 고민을 하셨던 분이 계신데
답글이 달려 있지 않아 복사해서 가져와 보았습니다
'역할 선정'이나 '언어적 선언'만 이루어진 채 '역할의 실제 수행'은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것은 '역할이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인가요?
(2017기출-A3-3)번의 'ㄷ. 난 미용사 할래'는 '언어적 선언'에 대한 부분이고, '실제로 미용사의 역할을 수행'하는건 언급되어 있지 않는데, 이 부분을 '역할이행'이라고 말씀해주셔서요.
그런데 또 교재 372p의 기출1번에서 '나는 엄마다.', '그래? 그럼 나는 아빠 할까?'가 역할이행이라고 설명해주신 거 보면, 기출문제를 풀 때는 '역할선정/언어적선언/역할의 실제수행'의 3가지가 따로따로 밑줄이 그어져있어도 모두 '역할이행'이라고 보면 되는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같은 프린트물에 있는 '상위 의사소통'의 하위내용으로 '(2) 역할 분담하기("나는 아빠할게, 너는 아기해")'라고 나와있는데, 이 '역할 분담하기' 부분에 근거하셔서 2017기출-A3-3의 정답이 역할이행과 동시에 언어적의사소통 준거에도 속할 수 있는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또 상위 의사소통 '역할 분담하기'의 예시로 "나는 아빠할게, 너는 아기해."라고 나의 역할과 타인의 역할을 모두 분담시켜주는 부분이 예로 나왔는데, 만약 "나는 아빠할게."라고 나의 역할만 정하고 다른 유아가 "그러면 나는 아기"라고 상대 역할과 어울리는 자신의 역할을 정하는 것도 역할 이행이면서 상위 의사소통인가요?
덧붙여 혼자 놀면서 혼잣말로 "나는 엄마 해야지" 하는 것도 역할 이행인가요?
질문 전 검색해 보니 다른 연도에 저와 같은 고민을 하셨던 분이 계신데
답글이 달려 있지 않아 복사해서 가져와 보았습니다
'역할 선정'이나 '언어적 선언'만 이루어진 채 '역할의 실제 수행'은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것은 '역할이행'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인가요?
(2017기출-A3-3)번의 'ㄷ. 난 미용사 할래'는 '언어적 선언'에 대한 부분이고, '실제로 미용사의 역할을 수행'하는건 언급되어 있지 않는데, 이 부분을 '역할이행'이라고 말씀해주셔서요.
그런데 또 교재 372p의 기출1번에서 '나는 엄마다.', '그래? 그럼 나는 아빠 할까?'가 역할이행이라고 설명해주신 거 보면, 기출문제를 풀 때는 '역할선정/언어적선언/역할의 실제수행'의 3가지가 따로따로 밑줄이 그어져있어도 모두 '역할이행'이라고 보면 되는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그리고 같은 프린트물에 있는 '상위 의사소통'의 하위내용으로 '(2) 역할 분담하기("나는 아빠할게, 너는 아기해")'라고 나와있는데, 이 '역할 분담하기' 부분에 근거하셔서 2017기출-A3-3의 정답이 역할이행과 동시에 언어적의사소통 준거에도 속할 수 있는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또 상위 의사소통 '역할 분담하기'의 예시로 "나는 아빠할게, 너는 아기해."라고 나의 역할과 타인의 역할을 모두 분담시켜주는 부분이 예로 나왔는데, 만약 "나는 아빠할게."라고 나의 역할만 정하고 다른 유아가 "그러면 나는 아기"라고 상대 역할과 어울리는 자신의 역할을 정하는 것도 역할 이행이면서 상위 의사소통인가요?
덧붙여 혼자 놀면서 혼잣말로 "나는 엄마 해야지" 하는 것도 역할 이행인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