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부모교육) 경청 기술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3-28 03:36:32 |
조회수 | 1,094회 | 댓글수 | 1 |
강의에서 두 번째인 인식 반응 보이기가 공감이라고 하셨는데
인식 반응 보이기는 열심히 듣는다는 표시를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함으로써
진지하게 듣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라고 교재에 나와 있더라고요
세 번째 계속 말하도록 격려하기에서
함께 걱정하고 있다는 뜻을 전달한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가 더 공감에 가깝지 않은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또 네 번째 적극적 경청을 보면
이해한다는 말이 있어서 여기가 더 가까울 것 같기도 하고요...
전체에서 다 일어나는데 정도의 차이일까요?
인식 반응 보이기는 열심히 듣는다는 표시를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함으로써
진지하게 듣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라고 교재에 나와 있더라고요
세 번째 계속 말하도록 격려하기에서
함께 걱정하고 있다는 뜻을 전달한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가 더 공감에 가깝지 않은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또 네 번째 적극적 경청을 보면
이해한다는 말이 있어서 여기가 더 가까울 것 같기도 하고요...
전체에서 다 일어나는데 정도의 차이일까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포인트를 잘못 잡으셨네요.
인식반응은 열심히 듣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으로 열심히 듣는 다는 것은 상대의 이야기에 공감하며 듣는 다는 뜻 입니다.
격려하기는 이야기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 말하도록 도와준다는 뜻 입니다.
적극적 경청은 상대의 이야기를 다 듣고 나서 상대가 전달하려는 의도를 읽어주며 반응하는 과정입니다.
경청의 과정이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속적인 과정으로 보아야겠지요? 따라서 공감이라는 부분이 어느 한 단계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각각의 단계에서의 강조점은 다릅니다. 즉 각 용어가 표현하려는 의미는 다릅니다.
어떤 용어이든지 처음에는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 혼란이 생깁니다. 특히 용어 정의부분을 읽을 때는 포인트를 잡아서 이해하면 다른 단어와 혼동이 생기지않습니다. 한 이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공부하는 방법은 각 용어상의 공통점이 아니라 차이점일 것 입니다. 유사한 맥락에서 각 용어가 서로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는지를 비교하며 반복적으로 보다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