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언어교육]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언어발달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 ||
---|---|---|---|
작성자 | cjstkakwhr | 작성일 | 2018-03-23 17:40:08 |
조회수 | 1,487회 | 댓글수 | 1 |
1. 비고츠키는 자기중심적 언어=혼잣말이라고 했는데 피아제도 그런가요?? 그래서 반복어, 독백, 집단적독백은 혼잣말의 종류인가요?
2.비고츠키는 사회적언어에서 자기중심적언어로 발달한다고 하였는데, 언어발달단계에서 제 3단계가 자기중심적언어 단계는 자기중심적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이고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는 사회적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인가요?
제1단계 원시 자연적 단계도 사회적 언어를 사용하나요??
2.비고츠키는 사회적언어에서 자기중심적언어로 발달한다고 하였는데, 언어발달단계에서 제 3단계가 자기중심적언어 단계는 자기중심적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이고 제1단계와 제2단계에서는 사회적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인가요?
제1단계 원시 자연적 단계도 사회적 언어를 사용하나요??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학자들이 주장한 용어는 있는 그대로 흡수하셔야 합니다.
삐아제는 자기 중심적 언어를 혼잣말이라는 용어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반복어, 독백, 집단적 둑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습니다. 비고츠키는 자기 중심적 언어 유형으로 혼잣말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했습니다.
그렇다고 비고츠키의 혼잣말이 반복어...와 같다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공부하셨겠지만 두 학자가 주장한 자기 중심적 언어의 성격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2. 원시 자연적 단계에서는 사고와 언어가 통합된 시기가 아니며, 언어가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