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대리강화 무시행학습 동일시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3-24 17:59:19 |
조회수 | 1,661회 | 댓글수 | 1 |
- 대리강화와 무시행학습은 무슨 차이인가요?
직접적인 보상은 없지만 다른 사람이 보상받는 걸 통해 모방하면 그것은 무시행학습일까요 대리강화일까요? 무시행학습의 정의처럼 해 볼 기회도 없었고 모상에 대한 보상도 없는데도 학습이 이루어진 경우니까 둘 다 될 수 있나요? 어떻게 구분하죠!
- 무시행학습과 동일시는 차이가 뭘까요?
해 볼 기회도 없었고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음에도 일반적인 행동 스타일을 학습했다면요? 동일시에는 꼭 직접적인 강화나 대리강화가 포함되나요?
직접적인 보상은 없지만 다른 사람이 보상받는 걸 통해 모방하면 그것은 무시행학습일까요 대리강화일까요? 무시행학습의 정의처럼 해 볼 기회도 없었고 모상에 대한 보상도 없는데도 학습이 이루어진 경우니까 둘 다 될 수 있나요? 어떻게 구분하죠!
- 무시행학습과 동일시는 차이가 뭘까요?
해 볼 기회도 없었고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음에도 일반적인 행동 스타일을 학습했다면요? 동일시에는 꼭 직접적인 강화나 대리강화가 포함되나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대리강화와 무시행학습은 말 그대로의 차이입니다.
대리강화는 강화가 직접 주어지기 보다는 모델의 강화를 관찰함으로써 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무시행 학습은 실제로 해보지 않고 특정 행동에 대한 인지적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뜻 입니다.
즉 두 개념은 서로 사용되는 맥락이 다릅니다. 대리강화는 강화와 관련해서, 무시행 학습은 관찰만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졌단 의미입니다. 이 경우 무시행학습=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과 동일한 의미입니다
또한 무시행학습은 동일시와는 다릅니다. 동일시는 특정 행동의 학습이 아니라 모델의 전반적인 태도와 성향을 내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단어는 동일 이론 내에서 다른 맥락으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한 이론 안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은 완전히 구분된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 의미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언어로 조작적 정의를 내릴 때는 각각이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용어의 정의를 꼼꼼하게 기억해서 각각의 강조점이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관련된 단어들을 조작된 정의로 이해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임의적으로 실제와 관련지어 연결 지으면 개념상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