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상징놀이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3-24 21:02:53 |
조회수 | 2,019회 | 댓글수 | 1 |
상징놀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거나/ 사물.상황을 실제와 다르게 변형시켜 표상하는 놀이이다
- 뒤에 있는 '다르게 변형'에 관한 용어를 쓰라고 하면 상징적 변형과 가작화 중 어떤 게 더 적합할까요? 가작화도 실제와 다르게 표현하는 거니까 상징적 변형과의 구분 방법이 궁금합니다 탈맥락화는 가작화 중에 일어나는 걸까요 상징적 변형 중에 일어나는 걸까요...?
- 앞부분에 따라 변형 없이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는 것도 상징놀이라면 나무를 보지 않고 표상해서 만드는 게 구성놀이도 되고 상징놀이도 되는 건가요...? 앞부분의 상징놀이 예가 궁금합니다
- 뒤에 있는 '다르게 변형'에 관한 용어를 쓰라고 하면 상징적 변형과 가작화 중 어떤 게 더 적합할까요? 가작화도 실제와 다르게 표현하는 거니까 상징적 변형과의 구분 방법이 궁금합니다 탈맥락화는 가작화 중에 일어나는 걸까요 상징적 변형 중에 일어나는 걸까요...?
- 앞부분에 따라 변형 없이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는 것도 상징놀이라면 나무를 보지 않고 표상해서 만드는 게 구성놀이도 되고 상징놀이도 되는 건가요...? 앞부분의 상징놀이 예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상징적 변형과 가작화는 서로 다른 의미라기 보다는 각각의 용어를 사용하는 학파 즉 이론적 입장에 차이가 좀 있습니다. 상징적 변형은 주로 피아제 학파, 가작화는 스밀란스키 등의 학자 이론에서 사용합니다.
2. 질문이 상징놀이를 전제했으니 상징적 변형이 더 적합합니다
3.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표상하는 놀이는 상징놀이이지 구성 놀이가 아닙니다
구성 놀이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놀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구성놀이의 강조점은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든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반면 상징 놀이는 기호적 기능을 강조합니다. A를 사용하여 B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 때 A는 기표가 되고 B는 기의가 됩니다 기표란(말 그대로 기호이고 기의는 기호가 상징하는 대상 또는 의미를 뜻 합니다.
상징놀이 예는 나무 블럭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상징하는 경우를 들 수 있겠네요.
마지막으로 상징적 변형인가 가작화인가의 차이는 용어 상의 차이일 뿐 입니다.
시험에서 두 용어 중 무엇을 쓸 것인가는 시험 문제에 맥락이 주어지니 고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