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 관찰학습의 구성 요소 | ||
---|---|---|---|
작성자 | glglglgl | 작성일 | 2018-03-18 04:35:31 |
조회수 | 967회 | 댓글수 | 1 |
1 운동 재생 과정이 기억 속에서의 행동 재생산인지 기억을 이용한 직접적인 행동 재생산인지 궁금합니다 이 과정이 신체 수행 능력이 필요한 수행 단계라고 하셨는데 다음 단계가 되어서야 동기화에 의해 학습된 행동을 실제 할지 말지 좌우된다고 해서요 그럼 운동 재생 과정은 밖에서 보이는 행동이긴 하나 상황에서 쓰지는 않는 개인적 연습의 행동일까요?
2 개요도의 기억 과정에 써 있는 '부호화와 연습 -> 내면화 -> 기억에 의한 재생'은 전부 기억 과정에 포함되는 건가요? 강의에서 기억은 나중에 재생하기 위한 과정이라 재생은 기억 과정이 아니라 하셔서 질문합니다
2 개요도의 기억 과정에 써 있는 '부호화와 연습 -> 내면화 -> 기억에 의한 재생'은 전부 기억 과정에 포함되는 건가요? 강의에서 기억은 나중에 재생하기 위한 과정이라 재생은 기억 과정이 아니라 하셔서 질문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운동 재생은 당연히 자신의 기억을 바탕으로 행동을 수행 한다는 뜻입니다.
반두라는 행동의 학습 과정에 인지적 과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 기억을 하려면 관련 정보가 부호화 되어 정보로 처리가 되어야 하고 이런 처리된 정보가 내면화되면 향후 자신의 기억을 바탕으로 수행을 하게 된다는 뜻 입니다.
3. 당연히 기억과 재생은 서로 분리된 과정입니다. 하지만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수행을 하기는 어렵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