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심리] 전조작기 설명 중 정적 상태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ㅠㅠ | ||
---|---|---|---|
작성자 | whdbwls128 | 작성일 | 2018-03-13 00:33:07 |
조회수 | 928회 | 댓글수 | 2 |
441p 길라잡이 중 '전조작기에 정적인 상태를 내적으로 표상하게 되었다면'과
443p 갈무리 중 '(4) 변환에 관한 추리 능력의 미발달 - 정적 상태에 집중한다.'에
적혀 있는 정적 상태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정'의 의미가 견고하다는 의미인지, 정신적이라는 의미인지, 멈춰있다는 의미인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교수님!
댓글목록
laviande님의 댓글
laviande 작성일
선생님 지나가다가 궁금해져서 저도 찾아봤는데요. 저는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 설명으로 이해했어요.
전조작기 사고와 구체적 조작기 사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재조직과 논리적 결론,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이 가능한가 아닌가에 있다고 생각하거든요.(p.441)
그래서 p.443 (4)의 예시를 보면 쐐기벌레가 나비가 되는 연속적인 전 과정을 이해 못 하고, 쐐기벌래-나비 처럼 정적인 상태로만(나누어진 부분으로만)이해한다고 보았어요. 두 개 이어서 생각해보면 선생님 질문 중 ‘멈춰있다’와 내용이 비슷한 것 같네요.:)
유교미혜지님의 댓글
hyeji9907 작성일저처럼 검색해서 오시는 분 있을까봐 댓글 남겨요 ^^ 교재 340페이지 비가역성 설명에 "전조작기 유아들은 감각 운동적 사고의 견고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 말이 정적인 상태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