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교육과정-프로젝트 접근법/ 유아평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
---|---|---|---|
작성자 | lite0102 | 작성일 | 2018-03-14 19:08:24 |
조회수 | 1,414회 | 댓글수 | 1 |
[유아교육과정론-프로젝트 접근법]
1. 교재 5권 - p.50 기출탐구 문제 보기중에서요.
ㄷ의 '체계적 교수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라고 쓰여져있는데..
'체계적 교수법'이라는 게 정확히 어떤 교수법을 말하는 건가요? 왜 프로젝트 접근법은 체계적 교수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유아평가]
2. 교재 5권 - p.126 길라잡이 <관찰법과 검사법> 비교 표에서요.
관찰법 단점 중에 '유아의 내적 속성은 평가하기 어려움' 이라고 적혀있는데..
관찰법의 유형 모두가 다 내적 속성을 평가하기는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나요? 일화기록이나 사건표집법은
질적 평가로 내적 속성을 평가할 수 있는 거 아닌지 해서요.. 내적 속성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s) 교수님들의 열정 넘치는 강의를 보며 항상 열공하자는 마음을 다져요! 항상 감사합니다^_^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체계적 교수법은 우연한 교수법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보다 교사 주도적인 교수법이라고 이해하시면 좋겠네요.
프로젝트 접근법은 도입-전개-마무리 단계에서 반드시. 꼭! 진행해야 하는 정해진 교수 방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체계적 교수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관찰은 그때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사실만 기록하므로 유아의 건강 및 심리상태, 유아의 인지수준 등 내적 속성을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관찰된 행동에 대해 부모나 유아와 추가적인 면담, 조사 등을 통해서 내적 속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