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아동복지] 정서적 방임에 질문 드립니다. | ||
---|---|---|---|
작성자 | RedAnn0504 | 작성일 | 2018-03-04 22:37:47 |
조회수 | 1,059회 | 댓글수 | 2 |
정서적 방임이 큰 틀에서 보면 정서적 학대로 포함되는 것 같은데 이 둘을 명백하게 구분하지는 않아도 되나요?
선생님의 교재에 보면 정서적 방임은 적절한 양육과 사랑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 심리적 보살핌을 소홀히 하는 것, 아동에게 약물이나 술 등 다른 부적응 행동을 허용하는 것 등이 나와있는데요,
정서적 학대에서 무의식적으로 아동을 거부하는 행동, 표정, 언어(직접적)나 부부간의 불화에 의한 구타, 폭언(간접적) 등도 아동에게 적절한 양육과 사랑을 제공하지 않는 방임적 태도에서 생기는 학대로 여겨져 질문드립니다!
댓글목록
myid726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무의식적으로 아동을 거부하는 행동, 표정, 언어(직접적)나 부부간의 불화에 의한 구타, 폭언(간접적) 등을
아동에게 적절한 양육과 사랑을 제공하지 않는 방임적 태도에서 생기는 학대로 여기도록 추론하시면 안되구영
그러면 다 정서적 학대와 관련 안된 학대가 없는 것 같더라구요~
(정서적)방임은 문맥에서 어쨋든, 해 주어야 할 걸 ~한 것들을 해주지 않는 것이 포인트구요,
(정서적) 학대는 주로 기출 보면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언어(직적접) 등 처럼 뭘 ~ 가해야 해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물론 문제에서는 학대의 유형과 방임의 유형을 구분해서 질문할 것입니다.
구분 기준을 정해본다면 myid726님께서 설명하신 것 처럼
정서적 학대의 내용을 살펴보면 직접적 행동으로 드러납니다. 행동, 표정, 언어 등
정서적 방임의 내용은 직접적 행동이라기보다는 '마땅히 해야할 것을 안하는 것'또는 '무관심한 것'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