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교육 접근법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 ||
---|---|---|---|
작성자 | guswlgh6358 | 작성일 | 2018-03-01 11:46:51 |
조회수 | 2,129회 | 댓글수 | 1 |
사회문화적 환경 접근 방식과 직접 환경 접근 방식에 구분이 잘 가지 않습니다.
유아가 직접 경험하며 학습한다는 관점이 유사하다고 생각되는데요,
어떤 식으로 둘을 구분지어 이해하면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책에 기출문제에는 직접 환경 접근 방식에 대한 사례가 나왔는데, 사회문화적 환경 접근 방식에 대한 사례도 같이 들어주세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식이 많이 유사해 보이지요?
하지만 두 이론은 기본적인 철학과 관점이 다릅니다.
직접환경접근방식은 듀이의 철학에 기초하여 유아들의 경험과 흥미 및 사고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운영합니다. 물론 유아의 경험을 존중하고 경험이 확대되는 방식에 따라 내용을 점진적으로 확대시키는 방식이지요
사회문화적 접근방식은 주로 비고츠키와 브론펜브레너 등의 이론에 기초합니다.
이 입장은 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유아의 현재의 행동은 다양한 환경적 맥락에서 이해 됩니다. 또한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지요. 특히 교육 내용에는 이러한 사회 체계의 변화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켜 유아들이 변화한 환경에 대해 보다 타당한 사고를 하도록 돕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조 같은 경우 가족의 다양성 같은 내용들 이 포함되지요.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접근법에서도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 강조되고 학습의 공동체성을 강조합니다.
결론: 두 이론에 대한 설명이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내용 선정이나 접근방식 등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두이론의 공통점은 유아의 경험을 중시하여 이러한 경험을 중심으로 내용을 선정한다는 점, 유아의 사고 특성을 고려아혀 지금 여기의 내용들을 중시하면서 점진적으로 내용을 확대 시켜 간다는 점 등입니다
차이점: 기존의 직접경험접근은 유아들의 자기중심성과 제한된 경험의 범위, 학습에 대한 흥미 등을 강조햇다면
사회문화적 접근은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 기초하여 내용을 선정한다는 점, 환경 체계의 변화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내용들이 선정된다는 점 등이 가장 크게 차이가 납니다. 이 바껭고 교수학습에 있어 협력학습의 강조 및 교육에 대한 다양한 구성원들의 참여를 강조하기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