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중요성과 놀이이론에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ara4103 | 작성일 | 2018-02-24 16:20:31 |
조회수 | 1,254회 | 댓글수 | 1 |
1)반복이론에서의 정화와 프로이드의 정화에서 질문입니다.
-반복이론에서 정화가 어떤 점에서 프로이드 정화와 같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2)비고츠키 : 사회적 지지 받는 학습 맥락 제공 제공
=유능한 상대자로부터 지원, 비계 설정 제공받음으로써 혼자서 할 수 없었던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밑줄친 부분에서 가게 놀이를 할 때 현실에서는 글자 쓰는 것을 힘들어했던 유아가 또래의 지원을 통해
글자를 쓸 수 있거나/ 혹은 엄마 놀이에서 실제로 해볼 수 없던 엄마의 행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2)현대 놀이 이론에서 질문입니다.
-피아제 : 놀이는 동화가 우세한 지적 불균형 상태
=인간은 평형 상태를 유지하려는 심리적 경향성으로 인지가 불균형하면 적응하기 위해 조절하려고 하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놀이가 왜 지적 불균형 상태인지 혼돈이 옵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p. 567 고전적 놀이 이론종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제시하는 예를 포함한다고 생각합니다.
3. "인지가 불균형하면 적응하기 위해 조절하려고 하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의 이해 부분이 잘못되었습니다.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조절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동화와 조절을 통해서 평형화에 이르려고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