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의 이론과 실제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hanhee517 | 작성일 | 2018-02-26 22:55:28 |
조회수 | 1,217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선생님. 놀이 공부하다가 생긴 질문들을 올립니다.
1. 놀이의 본질적 특성에서 내적동기화에 대한 설명 중
놀이는 배고픔이나 같은 충동이나 부나 권력의 획득과 같은 목적에 의하여 외적으로 동기화되지 않는다.
이 부분에서 배고픔이나 같은 충동이 외적으로 동기화 된 것인가요? 배고픔이나 같은 충동도 내적으로 동기화 된 것이 아닌지요.
2. 자유놀이와 자유선택활동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자유놀이는 비공식적인 놀이 자유선택활동은 공식적인 놀이로 보면 될까요? 교육학용어 사전에 따르면
자유놀이 free play가 아동이 여러가지 활동을 스스로 선택하여 하는 놀이로 되어있는데요. 자유놀이를 자유선택활동하고 혼용해서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확실히 구분할 수 있을까요.
3. 또래간 유능성에 대한 설명 중
또래간 유능성이 있는 유아는 놀이 집단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며 의사소통을 능숙하게 하고 또래와의 갈등을 잘 해결한다는 연구는 또래의 유용성과 상호 주관성의 관계를 알려준다에서 분홍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또래의 유용성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4.p.567에서 반복이론에 대한 비판점에 유아의 놀이는 다양하며 순서적, 직선적으로 발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순서적 직선적으로 발달하지 않는다는 것과 반복이론이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5. 각본의 구성요소 중에서 장면, 하위 활동, 역할, 관계, 장면에서의 소품,각본의 변형,
각본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사회생활 조건 중에서 분홍 부분의 예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문장의 표현을 구분하세요.
배고픔과 같은 충동/ 부나 권력의 획득과 같은 목적에 의하여 외적으로 동기화되지 않든다.
즉, 충동적으로 또는 외적으로 동기화 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네 선생님이 생각하신대로 구분하시면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분으로 무리 없다고 생각합니다.
3. 상호주관성은 여러 주관 사이에서 공통으로 성립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한 사람이 가진 주관성이 아니라, 동일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겪는 공통된 것으로 완전히 객관적인 것은 아니지만, 객관성에 준하는 과정으로 봅니다. 즉, 해당하는 문장은 또래유능성과 상호주관성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4. 반복이론은 인류의 진화 과정을 재현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기고, 앉고, 서고와 같은 인류의 진화과정 또는 진화과정에 준하는 행동을 놀이로 표현한다는 것입니다. 비판점에서는 유아의 놀이가 그렇게 순차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5. 이야기를 시작할 때는 언제나 도입과 결말이 있습니다. 그러한 일반적인 조건을 의미합니다.
이상의 답변을 드리며
개론반 시작에서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각 과목을 공부하실 때 꼭!! 해당하는 각론서와 함께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교재는 요약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hanhee517님의 댓글
hanhee517 작성일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