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스밀란스키 극화놀이 준거 6가지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hdl0205 | 작성일 | 2018-02-26 23:56:47 |
조회수 | 1,172회 | 댓글수 | 2 |
준거 6가지 중
행동 및 상황 가작화: "~하기로 하자!" 라고 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언어적 의사소통 중 상위의사소통에도 해당하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두가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행동 및 상황 가작화: 상황이나 행동을 상상해서 언어로 표현한다 예) 자 이제 우리는 자동차를 탄 것 처럼 하자
개념에 대한 설명만 보면 이해가 되는데 예시를 들었을 때 혼동됩니다.
댓글목록
saetbyeol9님의 댓글
saetbyeol9 작성일선생님! 저도 그 두가지를 무척 헷갈려하고 다른 선생님들과 논의해보았어서 답변드려요우선 선생님 말씀처럼 ~하기로 하자를 행동및 상황 가작화로 확신을 하면 안될 것 같아요 그 상황에 따라 초의사소통으로 친구에게 설명을 하는 거일 수도 있고 또 상황을 가작화하는 것일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그 밑줄친 부분의 앞 뒤 상황을 잘 따져야 할 것 같아요. 영역별 기출영역에서 놀이영역부분을 분석해보니 그부분이 헷갈리지않게 문제가 원하는바를 찾을 수 있도록 묻고있더라구요!기출문제집p.154,155쪽을 보시면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 중 () , 사회극 놀이의 요소 중() 이런식으로 쓰게끔 되어있어요! 아마도 출제자들도 그 부분을 일고 있기 때문에 물어볼 때 이런식으로 물어보는 것 같아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saetbyeol9님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문제가 요구하는 지문을 읽을 때는 앞 뒤 문장을 통해 맥락을 파악한 후 답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기로 하자."는 혼잣말롤 자기 자신에게 상황의 가작을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고 친구와 규칙을 합의하는 상황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에 대한 문제가 나올 때는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로 범주화 한 것 처럼 언어적 표현보다는 인형을 재우는 상황, 손을 씻는 상황 등 행동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겠지요. 또는 "지금부터 아가는 자는 시간이야", "나는 지금 손을 씻고 있어." 와 같은 언어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인형을 재우는 흉내를 낸다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