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브루너, 교육의 과정
작성자 glglglgl 작성일 2018-02-23 03:01:41
조회수 1,527회 댓글수 6
유아교육을 조기 교육으로 보는 관점의 배경: 브루너의 가설이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교재 26쪽)

그런데 브루너의 같은 내용을 유아교육과정 각론서에서는 나선형적 조직 접근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어요
동일한 내용을 '학습자의 지적 발달 수준과 표현 양식에 맞게' 어린 연령 단계에서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활동으로 제시하고 다음에는~ (정민사 147쪽)
이런 식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나선형적 조직 방법은 가설일 뿐 비현실적인 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각론서에선 어린 시기부터 단계적으로 '발달 수준에 적합한 형태로' 경험이 누적되는 것이 의미 있는 지식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라고 설명이 끝나요

조기 교육 관점은 발달과 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건데 사실로 여겨서 문제가 됐다는 배경 가설은 발달에 적합한 형태를 얘기하고 있어서 혼란스럽습니다
  • 목록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샘 수업 시간에 이 부분은 충분히 설명을 했습니다.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이 아니라 브루너의 대담한 가설이라는 내용을 중산층 부모들이 잘못 받아 들여서 천재아 선호증상이라고 하는 조기교육 현상을 가속화 시켰다구요.  ㅠㅠ 

  질문 하시기 전에 충분히 공부하시고 그래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만 내용을 좀 정리해서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그리고 각론서 내용을 인용하시거나  질문하시려면 정확하게 책 이름, 저자 등을 함께 적어주셔야 해요.

정민사 147쪽이 무슨책인지 제가 알 방도는 없으니까요.....

glglglgl님의 댓글

glglglgl 작성일

제가 본 아이미소 교재와 각론서에는 똑같이 브루너, 교육의 과정이라고 나와 있어요 그래서 둘이 같은 내용인 줄 알았고 교수님 답변 보고 검색한 대담한 가설도 설명하는 내용에는 발달에 적합하게 라는 말이 등장해요 교재 26쪽을 가설을 사실로 받아들여가 아니라 가설을 오해하여로 수정해서 보면 되는 건가요?

설명하신 중산층 부모들이 잘못 받아들여서 천재아 선호 증상을 낳았다는 것은 지능 유동성 연구와 관련해서 말씀하셔서 교재 18쪽에 필기되어 있으며 교재에도 헌트와 블룸만 나와요... 브루너도 지능 유동성 연구와 관련이 있는 건가요?

각론서는 이름 그대로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박찬옥 외 공저입니다

glglglgl님의 댓글

glglglgl 댓글의 댓글 작성일

교수님 그리고 같은 사람이 같은 책에서 연관되는 내용을 써서 연관시켜 생각하는 건데 가벼운 질문으로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서운해요 제 입장에선 충분히 공부하고 이해 안 되는 걸 올린 거예요 저 혼자 결론이 나지 않아서요 브루너에 의하면 나선형 조직 방법으로 결국 대담한 가설을 이룰 수 있다는 거잖아요 제가 잘못 이해했나요? 나선형 조직 방법의 내용에는 '발달에 적합하게'가 들어가 있고요 그걸 사실로 받아들여서 조기 교육의 배경이 됐는데 발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하니 앞뒤가 안 맞아서 질문한 거예요 말씀하신 지능 유동성 연구는 26쪽 ㄴ으로 브루너는 ㄷ으로 나뉘어 있어서 교재에서 연관되어 있지 않아요 강의에서 부모들이 오해했다고 말씀하신 건 지능 연구였고요 부모들이 지능 연구와 대담한 가설 둘 다 오해한 건가요? 교수님은 이게 일상이라 너무 익숙하고 잘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공부 시작하는 사람은 낯선 내용을 익히는 단계라 엉뚱한 걸 엮기도 하고 관련 있는 걸 같이 못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교수님이 쓴 교재와 하신 강의에서 드는 의문이니까 도와주실 거라 믿고 질문하는 거고요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답변에 서운한 마음이 들었군요.  죄송합니다 ^^&

1. 우선 샘이 말씀 하신대로 대담한 가설을 사실로 받아 들였다는 것보다는 오해했다는 표현이 더 적합하겠네요.

2.  천재아 선호증상은  1) 화이트와 블룸 등의 지능의 유동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대한 오해 + 브루너의 대담한 가설에 대한 오해( 어린 유아들에게 어떤 내용이든 가르칠 수 있다고, 부모들이 대담한 가설을 이해할 때  나선형 교육과정에 대한 고려가 안된 것이지요. ) + 상업적 매체 들의 과다 광고가 총체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엘킨드의 "쫓기는 아이들"을 합격 이후에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3. 답변에 서운한 마음이 많이 들었나 봅니다. 샘의 마음에 상처를 준 것 같아 미안합니다 ^^&

직접 얼굴을 대하고 말로 하면 서로 충분히 이야기하면서 오해도 안생길텐데요. 한정적인 지면에 한정적인 글로 생각을 남기다보니 의도치 않은 결과가 생겼네요. 속상한 마음 푸세요 ^^&

 열심히 공부하면서 드는 의문의 해결에 도움을 드리는 것이 제 역할이긴한데 아마도 한번에 연이어 올라온 여러 개의 질문에 저도 좀 마음이 불편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좀 더 고민해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glglglgl님의 댓글

glglglgl 작성일

교수님 감사합니다! 1번과 2번으로 나누어 설명해 주신 내용으로 명쾌하게 해결이 되었어요 질문이 연이어 올라오는 이유는 궁금한 게 생긴 걸 적어 뒀다가 바로 질문하지 않고 따로 찾거나 복습 후에도 풀리지 않은 것들을 한꺼번에 질문하기 때문입니다 ㅠㅠ 수가 많아도 제겐 소중한 궁금증들이니 앞으로도 믿고 따라갈 수 있게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열공 할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넵 저도 틈나는 대로 열심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열공하세요^^&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218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62 [발달] 행동주의 질문입니다. tjsdk2727 18-02-24 931
2361 (유아교육론)발달의 누적성 댓글(1) glglglgl 18-02-24 1305
2360 (유아교육론)유아교육의 중요성 댓글(1) glglglgl 18-02-24 986
2359 (유아교육론)DCAP 댓글(1) glglglgl 18-02-24 1115
2358 지능과 두뇌 능력 댓글(1) glglglgl 18-02-24 1102
2357 교과교육론 p.46 답안 댓글(1) yeri6911 18-02-23 1297
열람중 브루너, 교육의 과정 댓글(6) glglglgl 18-02-23 1529
2355 (유아교육론) 초등 준비로 보는 관점 댓글(1) glglglgl 18-02-23 966
2354 용어 질문 댓글(1) glglglgl 18-02-23 952
2353 (유아교육론)포괄적 서비스 댓글(1) glglglgl 18-02-23 944
2352 (유아교육론)아동기의 실종기 댓글(1) glglglgl 18-02-22 1032
2351 (유아교육론)지능의 유동성 연구 댓글(1) glglglgl 18-02-22 931
2350 (유아교육론)유아교육의 의미 댓글(1) glglglgl 18-02-22 1036
2349 행동주의 질문입니다. 댓글(1) sara4103 18-02-22 1207
2348 가드너 질문입니다. 댓글(1) sara4103 18-02-22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