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 기출문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vna1004 | 작성일 | 2018-02-21 21:26:26 |
조회수 | 1,202회 | 댓글수 | 3 |
1. p.151 9번 보기에서 ㄱ.행동과 상황에 대한 가작화가 지문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2. p.152 10번 보기에서 ㄷ. 물활론적 사고가 <나> 지문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궁굼합니다.
3. p. 156 13번 답이 지속성입니다. 그렇다면 지문에서 행동-상황 가작화는 지문 어디에서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4. 가작화 의사소통, 가상 의사소통, 가장 의사소통 모두 혼용해서 써도 되는지 궁굼합니다.
5. p.141 4번 지문에서 주차장 놀이 전 앞부분은 사회극 놀이 안된다고 하셨는데 이해가 잘 안됩니다.
사회극 놀이는 2명이상의 유아가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앞 부분도 사회극 놀이가 되는 것이 아닌지 질문드립니다.
댓글목록
조교선생님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선생님 안녕하세요!
1. 9반 뒷편에 보시면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 상황이나 행동을 상상해서 언어로 표현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에 근거하면 지문 중 정수의 말인 “여기는 목욕탕이야.”부분이 적합해 보입니다. 상황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2. 10번 ㄷ의 주변에서 모든 사물이 살아 있다고 생각하는 유아기적 사고는 물활론적 사고가 맞습니다. 하지만 <나>에서 물활론적 사고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즉, 보기 ㄷ 자체가 틀린 문장입니다. 보기의 문장 자체가 거짓이며 <나>와는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3. 행동 및 상황 가작화는 “여기가 과일가게야!”가 적절합니다.
4. 가작화 의시소통, 가장 의사소통 혼용되어 사용되며 가작화 의사소통의 사용 빈도가 높습니다.
5. 유아교육개론 1권 p.370에는 사회극 놀이는 ‘상징놀이가 더욱 발전된 형태로 두 명 이상의 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극놀이를 의미한다.’고 정의됩니다. 상징놀이가 발전된 형태므로 앞부분의 상징놀이도 한 번 확인하시면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문제 4번의 첫번째 중략 전 상황을 보면 하나의 줄거리있는 이야기형식의 놀이를 하기 보다는 모여서 놀이 전에 놀이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서로 모여 상호작용을 하고 있긴하지만 ‘놀이주제’에 대해 상호작용 하는것 아닌 단순히 놀이 구성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그 부분은 사회극 놀이 싱황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junmimi님의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회극 놀이는 의사소통의 주제와 스토리가 있어야 합니다.
윗 부분은 주차빌딩을 만드는 놀이를 하고 있을 뿐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tnrod님의 댓글
vna1004 작성일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잘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