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극놀이 요소 기출문제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kyung7464 | 작성일 | 2018-02-21 23:00:44 |
조회수 | 3,947회 | 댓글수 | 2 |
기출문제 답안에 대한 질문입니다.
역할 가작에 해당하는 내용이
교사: 똑똑, 꽃 사러 왔어요.
유아들: 어서 오세요
라고 되어있습니다.
역할의 가작이면 역할을 언어로 나타내거나 적합한 행동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제시된 답안은 교사와 유아가 그 역할이 되어 언어적으로 대화하고 있어 가작화 의사소통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역할의 가작은
재은: 나는 꽃가게 주인을 할 거야.
우진: 나는 꽃 파는 사람을 할 거야.
가 더 적절하지 않나요.????
기출문제 들이 정확한 구분이 어렵네요..
ps. 나~~할래(나 미용사 할래) 와 같은 표현을 상위 의사소통(언어적 의사소통) 이라고 해주셨는데요..
이해가 어려워서요..
저 표현들이 역할의 가작화가 되려면 바로 뒤에 적절한 행동이 꼭 같이 나와야지만 역할의 가작화가 성립되는 건가요????
댓글목록
조교선생님님의 댓글
올해는꼭 작성일
선생님 역할의 가작화라는 것은 그 역할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할에 이입을 해서 흉내내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뜻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꽃가게 주인을 할 거야","나는 꽃 파는 사람을 할 거야"라고 말 한 것은 놀이의 상황이 아닌 놀이를 위해 역할을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의사소통이라고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역할을 가작화 하기 위해서는 그 역할에 맞는 말을 사용하거나 행동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가작화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맞아요 선생님 께서 질문하신 것처럼요. 그런데 2008 문제에서는 밑줄이 있거나 어느 특정부분을 물어본 것이 아니고 통으로 찾아쓰는 문제 였기 때문에 선생님이 말씀 하신 것처럼 언어적 의사소통(대화)중 가작화 의사소통 - "어서오세요"라고 답을 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러나 요즘 문제 출제 추세는 기출 경향 문제집 p155쪽 12번 문제(2014년)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물어보는 것에 밑줄이 그어 있고 또 사회극 놀이 요소의 하나인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중()에 해당된다 처럼 구체적으로 물어보고 있어요. 헷갈리지 않게요. 그래서 답이 가작화 의사소통이 된 거예요. 만약에 그냥 사회극놀이 요소중 하나를 써라 라고 물어봤다면 역할 가작화가 될 수도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요즘은 문제에서 정확히 요구하는 것이 나온답니다.^^
ps로 질문 주신 것은 처음에 말씀 드린 것처럼 역할 자체를 하기 위해서 이거할래. 이거 할거야 처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역할 자체에 이입해서 말하는거기 때문에 그 사람인 척 말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기출문제 풀이 시간에 모범답안을 보충하여
역할의 가작화 : 모범답안과 같이 교사는 손님, 유아는 주인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풀이해드렸습니다.
사회적의사소통은 유아 상호간에 상황이나 암시적인 규칙의 합의하거나 수정하는 것으로 역할을 표현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각각의 구분에 대해 [놀이]각론서를 통해 다시 한 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