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다중지능 이론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hanhee517 | 작성일 | 2018-02-21 23:28:26 |
조회수 | 1,012회 | 댓글수 | 1 |
1. 다중 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방법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배울 본질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지식과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어야 한다. 이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각 학문에서의 핵심 개념을 다룸으로써 깊이 있게 다루는 것을 강조한다. 위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2.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대한 설명 중에서
교실의 흥미영역에 다양한 지능 영역의 특성을 발휘 할 수 있는 교구와 발달적 차이를 평가하고 그에 맞는 교육적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이 부분이 정확하게 이해가 안됩니다. 문장에 오류가 있는 것일까요?
프로젝트 스펙트럼은 아이들의 지능 발달의 윤곽과 활동 스타일을 평가하는 방법인 동시에 교육과정이라고 하는데요.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개략적인 설명을 들을 수 있을까요. 검색을 했는데 찾기가 조금 어렵습니다.ㅠ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전통적인 학교는 학생들이 기초기능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기능은 바로 그런 교과에서 다루는 기초기능의 학습을 뜻합니다.
1. 문맥상으로 볼 때 이 부분은, 교사는 기초 기능의 습득 여부만이 아니라 학생들이 무엇을 이해했는지에 관한 지식의 습득 여부와 그 결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전통적인 학교들은 교과를 통해 기초기능을 가르치고 교과 지식의 습득 여부만을 테스트를 통해 측정하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입니다.
하지만 이런 지식은 정보 폭발과 같은 지식이 급변하는 사회에서는 이미 사회에 진출했을 때 쓸모 없어지고
한편 학교에서는 현대 사회의 급변하는 모든 지식을 다 가르칠 수도 없으므로 각 학문의 빅아이디어에 해당하는 핵심개념만을 교과에 담아 학생들이 이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해야한다는 뜻 입니다.
가드너의 이런 주장은 빅아이디어 중심의 교과 내용 선정과 수행평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2. 프로젝트스펙트럼은 " 흥미영역에 다양한 지능 영역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교구를 제시하고 교구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 간의 발달적 차이를 평가하고, 이런 유아들간의 개별적 차이를 반영하여 교육적으로 적용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시한다 ." 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마도 원래의 내용을 줄여서 교재 수정을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일어 난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 하워드 가드너, 김명희`이경희 옮김, 양서원을 시간 될 때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직강을 들으시면 개인적으로 찾아오시면 책을 빌려드릴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