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대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hanhee517 | 작성일 | 2018-02-21 23:33:57 |
조회수 | 1,144회 | 댓글수 | 2 |
1. 생태학적 발달관에 대한 설명 중
성장하는 개인이 활동에 참여함에 있어 그 활동이 형태와 내용 면에서 비슷하거나 더 복잡한 수준의 환경적 속성을 드러내 주거나, 그 환경을 비슷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거나 혹은 재구성해 주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화 하고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이다.
문장이 너무 복합적으로 쓰여 있어서 해석이 어려운데요.ㅠㅠ 어떤 의미인지요.
2. 생태계의 구성중 ppt 자료에서는 외체계에 사회복지서비스와 법적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이는 제도적인 측면으로 본다면 거시체계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거시체계는 '광범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서비스는 포함이 되는 것이 아닐까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너무 복잡하게 설명이 되어 있는 것 맞습니다. 아마도 영어 원문을 직역했기 때문일 겁니다.
간락하게 의역하면 " 생택학적 발달이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아동이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적응해 나가는 과정이다. " 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사회 시스템의 차이인데요. 미국의 경우 연방 정부가 아닌 각 주(지방정부)마다 독자적인 법률체계와 복지 서비스 제도를 시행하기 때문에 외체계에 속하는 것 입니다. 우리나라도 차츰 지방자치가 확대되고 있어 국가 차원에서 만들어지는 법률이나 제도 이외에도 각 지방 행정 당국의 법률과 사회복지 서비스 제도에 의한 영향이 더 크지요.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을 때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각 지역의 개인에게 서비스가 제공되지 중앙정부가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서비스 실행 당사자는 지방자치단쳬입니다. 누리과정비를 예를 들어도 물론 교육부가 교부금을 교육청으로 보내지만 각 부모들에게 무상교육비를 제공하는 것은 교육청이지 교육부가 아닙니다. 사회복지서비스도 구청에서 제공하지 보건복지부가 직접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 개인에게 제공되는 사회서비스와 법률서비스는 지방정부가 그 주체입니다.
hanhee517님의 댓글
hanhee517 작성일
아 그렇게 이해하면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서비스의 주쳬를 교육청과 구청 지방자치단체로 보기때문에 외체계로 보면 되는군요
강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