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비고츠키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ara4103 | 작성일 | 2018-02-22 16:24:06 |
조회수 | 1,059회 | 댓글수 | 1 |
1)실제적 발달 수준 : 측정 시 발달 수준이라는 점에서 과거의 발달이라는 개념에서
과거의 발달이라는 것이 유아가 과거에서 지금까지 발달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2)근접발달지대 :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차이에서
차이라는 것이 사람마다 근접발달 지대 거리가 다르다는 것에서의 차이를 뜻하는 건가요?
3)비고츠키 자기 조절력 증진시키기 설명 중(460페이지)
개념적 질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4)사물에 대한 개념적 사고와 복합적 사고가 어떤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항상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실제적 발달수준: 특정 과제의 수행과 관련하여 유아가 이미 성취한 독립적 문제해결 수준
2. 근접발달지대에서의 '차이'라는 개념은 간격(거리)을 의미합니다. 특정 과제와 관련해서 유아들은 실제적 발달수준도 다르고 , 심지어 실제적 발달수준이 같은 유아들도 잠재적 발달수준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특정 과제 수행시 각 유아들의 실제적 수준으로부터 잠재적수준을 연결하는 근접발달지대는 각기 다르게 나타납니다.
3. 개념적 질문: 개념의 발달을 돕는 질문. 유아기는 대부분 범주적 개념이 발달하므로 개념발달을 돕는 질문으로는 이것과 저것의 공통점은? 어떤 점에서 같다고 생각하니? 와 같은 질문이 될수도 있고 공간개념의 발달을 돕거나 다문화 개념 중 다양성 또는 평등성 등을 역사 개념중 과거 개념, 연속성 등의 발달을 돕는 질문을 할수도 있겠지요
4. 비고츠키 언어발달에서 나온 용어를 말하는 것 이지요?
비고츠키 언어와 사고의 발달에서 복합적 사고란 개념적 사고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사고로서 구체적, 직관적 사고와 개념적 사고가 겹쳐진다는 뜻입니다.
또한 개념적 사고란 언어로 이루어진 추상적 사고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지발달 단계'라는 내용에 대해 샘이 지금 이 단어를 속으로 읽으며 동시에 해당하는 의미를 머릿속으로 진행하고 있다면 개념적 사고를 하고 있는 것 입니다. 개념은 사실이라기 보다는 어떤 관계를 설명하는 추상적 의미이므로 개념적 사고는 언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우리가 내적으로 언어를 이용해서 사고를 하고 있는 경우 개념적 사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