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극놀이 준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kyung7464 | 작성일 | 2018-02-19 14:50:08 |
조회수 | 1,033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교수님
제가 작년에 역할의 가작화와 행동의 가작화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구분하지 못한 채 시험을 봤던 기억이 나네요. 각론서를 아무리 찾아 읽어보아도 확실하게 깔끔하게 해결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교재에 나와있는 설명으로 보면
역할의 가작화: 다양한 역할을 언어로 나타내거나 적합한 행동을 함(나는 엄마야, 인형의 기저귀를 갈아주는 시늉)
행동의 가작화: 실제 행동을 대신하는 축약된 행동을 하거나(맘치질을 하는 것처럼 손을 올렸다 내렸다 함)
상상적 행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언어적 표현을 함(나는 지금 망치로 못을 박고 있는거야)
이 두가지 개념이 단순하게 보면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역할의 가작화도 결국은 그 역할에 해당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역할을 가작화 하며 하는 행동과 행동의 가작화를 구분하기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인형의 기저귀를 갈아주는 시늉을 본다면 저것 또한 실제 행동을 대신하는 축약된 행동을 하는 것으로 행동의 가작화로 볼 수 있지 않나요?
행동의 가작화가 무조건 **상상적 행동을 나타내기 위한 언어적 표현+ 행동**으로 나타난다면 헷갈리지 않겠지만 언어적 표현만 나올 수 도 있고, 행동만 나올 수 도 있다면 구분하기 어려울것 같네요..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또한, 혹시라도 제가 놓치고 있는 포인트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D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네~ 구분이 쉽지 않지요?
나의 판단이 아니라 설명에 의한 판단을 해야하기 때문이니 노력해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
역할의 가작화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행동이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엄마 또는 양육자, 아기 보는 사람이라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저귀를 갈아주는 시늉을 냈습니다.
행동의 가작화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행동이라기 보다는 '망치질 하는 행동'과 같이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망치로 못을 밖는 행동은 누군가의 특정 행동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역할 가작화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꽃에 물을 주는 행동'은 행동 가작화에 해당하지만
꽃 가게의 주인 행세를 하면서 '꽃에 물을 주는 행동'은 역할 가작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행동을 비교할 때 전제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