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놀이이론 외적중재, 무대감독자, 공동놀이자, 놀이지도자 | ||
---|---|---|---|
작성자 | yebin13 | 작성일 | 2018-02-19 16:24:58 |
조회수 | 1,479회 | 댓글수 | 3 |
밑에서 5번째 줄에서 교사가
뭘로 불을 끌건데요? 라고 질문하면서 예찬이가 호스요. 호스가 필요한데..
이 부분에서 교사는
스밀란스키의 외적 중재 즉, 놀이밖에서 질문하고 소품 등을 제안한다 라는 점에서
외적중재에 해당하나요? 그런데 교사가 유아와 함께 놀이 하고 있다는점에서
또 유아기 주도하는 것이므로 공동놀이자에 해당되는건가요??
무대감독자란, 바깥에서 놀이하는 유아가 더 잘 놀이하더록 무대를 구성하고 소품을 제안하는것긴데
호스라는 소품을 이끌도록 해서 예찬이가 당황해하는데 교사가 나무막대기 가져오면서 이걸로 호스 할까?
라고 하는 점에서 소품을 제공해줬으므로 무대감독자도 되는건가요??
다시말해 사례에서 교사의 개입이 스밀란스키에 의하면 외적중재가 맞는건지
존슨 의하면 무대감독자이자 공동놀이자 인지
궁금합니다 .
댓글목록
hervq님의 댓글
hervq 작성일
저도 각 놀이이론가들의 이론을 서로 비교하며, 각각의 정의를 대입해 보려고 했어요.
스밀란스키의 외적중재=죤슨, 크리스티,야키의 무대감독자에 해당되는 것 같아요.
-스밀란스키의 외적중재는 교사가 놀이 외부에서 질문을 하거나 새로운 소품을 제공하면서 개입하는 것으로 설명했어요.
- 죤슨, 크리스티,야키의 놀이 개입 방법에서 가장 비슷한 것을 찾는다면 저도 '무대감독자'라고 생각됩니다.
- 그 이유는 교사가 놀이가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이끌고, 놀이가 확장되도록 적절한 질문을 한다고 했으니까요. - 덧붙여 물어보신 '공동놀이자'가 외적중재에 해당되지 않은 이유는 죤슨, 크리스티,야키에 따르면 교사가 놀이 파트너로 함께 참여하여 작은 역할(손님이나 환자 등)을 맡아 놀이를 활성화 시키므로, 스밀란스키가 말한 외적중재에 해당되지않는 거죠. 공동놀이자는 내적 중재에 해당된다고 생각됩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외적중재에 해당하며 공동놀이자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의미에 대해 다시 꼼꼼하게 비교 분석해보세요.
2. 무대 감독자에 해당하는 개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분 모두 꼼꼼하게 공부하셨네요~~^^
각 사례에 따라 학자별로 구분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스밀란스키의 내적 중재가 공동놀이자에 해당하는가?와 같이
학자별로 크로스체크하는 것은 시험용으로 바람직한 공부 방법은 아닙니다.
내적 중재와 공동놀이자 역할에 공통되는 부분은 있지만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보기 위해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공부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상쾌와이님의 댓글
yebin13 작성일두 분 다 감사합니다~^^ 궁금했던 것이 해결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