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상징적 전환 뜻 | ||
---|---|---|---|
작성자 | wjatn200 | 작성일 | 2018-02-19 21:27:48 |
조회수 | 2,767회 | 댓글수 | 3 |
놀이이론 569p
인지 발달 이론 피아제 부분에서 '놀이에서는 현실 세계와 상관없이 사물을 놀이 활동에 알맞게 변화시키는 '상징적 전환(symbolic transposition)이 이루어지므로 놀이는 순수한 동화적 활동"이다. 이 부분에서 피아제가 말하길 놀이는 동화적 활동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부분은 이해가 되는데, 상징적 전환이라는 용어가 잘 이해가 안되네요..
댓글목록
hervq님의 댓글
hervq 작성일상징적 전환은 놀이세계에서 사물을놀이활동에 알맞게 변화시킨다고 했듯이 유아가 처음에 나무토막을 총으로 가지고 놀다가 나무토막을 자동차로 대체하고, 또 그다음에 비행기로 바꾸어 놀이하는 것으로 그래서 동화적 활동이라고 하는거 아닐까요? 교수님의 답변, 저도 기다려봅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hervq님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사물을 상징적으로 전환한다'는 용어 그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사물에 대한 도식이 형성되면 그 도식을 포함하고 있는 다른 것으로 상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색연필은 길쭉하다'라는 도식을 활용하여 그것과 유사한 도식을 가지고 있는 주사기로 상징적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블럭을 자동차로 상징적 전환을 한다고 할 때
블럭(기표): 자동차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됨 / 자동차(기의):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의미도식
이 때 블럭은 실제의 용도를 벗어나서(현실 세계와 상관 없이) 자동차를 상징(표상)하는 일련의 기호로 사용되었다는 뜻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