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정보처리이론 재인에 대한 질문 있습니다 | ||
---|---|---|---|
작성자 | guswlgh6358 | 작성일 | 2018-02-20 20:40:23 |
조회수 | 1,313회 | 댓글수 | 1 |
재인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겠어요ㅠㅠ
장기기억에서 기억해내는것이 인출이라면
단기기억에서 정보가 빠져나오는것이 재인이라고 하셨는데,
책에 감각정보를 해석하는 지각 파트에 상향정보처리와 하향정보처리가 있어서 헷갈리네요..!
감각기억, 재인, 상향(하향)정보처리와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장기기억에서 기억해내는것이 인출이라면
단기기억에서 정보가 빠져나오는것이 재인이라고 하셨는데,
책에 감각정보를 해석하는 지각 파트에 상향정보처리와 하향정보처리가 있어서 헷갈리네요..!
감각기억, 재인, 상향(하향)정보처리와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감각기억에서 부호화된 정보는 지각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상향 또는 하향 정보 처리 방식은 지각의 방식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지각된 정보는 단기 기억으로 유입됩니다.
단기 기억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정보를 떠올리는 방식을 재인이라고 합니다.
또한 문제해결을 위해 정보를 인출할 때는 일반적으로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 입니다. 물론 인출된 정보가 사고로 활성화되는 곳은 단기기억 즉 작업기억에서 이루어집니다
또한 정보처리 이론의 내용을 지나치게 실제와 연결하여 이해하시면 혼란이 생깁니다. 정보처리 모형은 일련의 과정을 가정하고 각각의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가설적으로 설명하는 내용들이고, 각각의 과정에 대한 설명은 각기 다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것이라 피아제 이론처럼 각각의 내용들이 체계적으로 유기적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즉 어떤 학자는 감각수용의 과정을 어떤 학자는 지각을 어떤 학자는 단기기억으로 어떤 학자는 장기기억을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이론을 하나로 정리한 것이니 공부할 때도 이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각기 분리하여 공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