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아이미소 49쪽 확인문제 7번이용 | ||
---|---|---|---|
작성자 | yeabin0307 | 작성일 | 2018-02-14 14:13:10 |
조회수 | 909회 | 댓글수 | 1 |
유아교육을 초등학교 준비 교육으로 보는 관점 중에 유아교육을 통해 초등학교 학습을 위한 기초 능력이나 집단 생활에 필요한 적응 능력을 길러 초등학교에서의 성취를 도와줄 수 있다는 입장의 해결방안이 유,초 연계를 강화하고 '우리들은 1학년'이라는 교과의 체계적 운영을 강화한다고 했는데..이러면 초등학교 준비 교육으로 보는 관점이 나쁘지만은 않다는 의미인가요? 그럼 저 해결방안은... 음... 흑백논리로 생각하면 안되긴 하는건뎅...아무튼...이해가 잘 되지 않아요 .. 유*초 연계를 강화하여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적응하도록 돕긴 하되, 초등학교에서의 성취만을 목적으로 교육하면 안된다는..그런 맥락으로 이해해야 하나요?ㅠㅠ 직강이 아니니 .. 한계가 있나봐요 ㅠㅠ흑...제 머릿속의 혼란을 잠재워주실 수 있으신가요?ㅠㅠ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유아교육은 '초등학교 학습을 위한 기초 능력'을 기르는 곳이 아니라 유아기에 필요한 학습 능력을 기르는 곳 입니다. 전인발달의 기초와 평생학습의 기초 능력을 기른다는 것이 다음 단계를 위한 기초능력을 기른다는 의미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유아기에는 유아기에 필요한 것을 배우지 초등학교에 필요한 것을 배우지 않습니다.
또한 유초연계를 강화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교육 내용과 방법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유아들이 유치원에 배운 내용과 연속선 상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3월에 있는 총론 영역 강의에서 유초 연계 부분을 공부할 때 좀 더 정확하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개론 파트에서 배우는 부분이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부분의 선행 내용이 아니라서 가끔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 공부하다보면 관련된 내용들을 다시 공부하게 되고 그러다보면 개론 부분 공부할 때 이해가 안된 내용이 교육과정 파트에서 자세하고 정확하게 이해됩니다. 공부란 순환적인 과정이고 특히 유아교육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각 영역들이 서로 연관이 있습니다.
직강이 아니라서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공부 초기라 당연히 개념들에 혼란이 생길 수 밖에없답니다. 공부란 개념을 형성하고 형성한 그 개념의 오류를 찾아서 계속 수정해가는 과정의 연속이랍니다. 힘내세요!!!